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념의 자연으로의 외화’를 통해 고찰한 자연철학의 의미The Meaning of Philosophy of Nature Considered in 'Transition of Idea to Nature'.

Other Titles
The Meaning of Philosophy of Nature Considered in 'Transition of Idea to Nature'.
Authors
이광모
Issue Date
Sep-2018
Publisher
한국동서철학회
Keywords
자연철학; 헤겔; 이념의 외화; 논리학; 진리증명; Philosophy of Nature; Hegel; Alienation of Idea; Logic; Proof of Truth
Citation
동서철학연구, v.89, pp 245 - 266
Pages
22
Journal Title
동서철학연구
Volume
89
Start Page
245
End Page
26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287
DOI
10.15841/kspew..89.201809.245
ISSN
1225-1968
Abstract
본 논문은 헤겔의 자연철학이 그의 ‘철학적 학문체계’ 내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논리학’과의 연관 속에서 고찰한다. 이 고찰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것은 ‘논리학’ 끝에서 서술되는 ‘이념의 자연으로의 외화’가 어떻게 이해되는가이다. 왜냐하면 헤겔에게 있어 자연이란 ‘외화된 이념’이므로 이 ‘외화’가 어떻게 해석되는가에 따라 그 이념을 고찰하는 자연철학 자체의 의미 및 ‘논리학’과의 관계 그리고 ‘체계’ 내에서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논리학’과의 연관 속에서 자연철학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려는 본 논문은 먼저 ‘이념의 자연으로의 외화’에 대한 주요한 해석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해석이 갖는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물론 이때 ‘이념의 자연으로의 외화’에 대한 기존의 해석의 문제점이 밝혀진다고 해서 곧 바로 그것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것에 대한 올바른 해석은 다시 ‘논리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런 까닭에 본 논문은 ‘논리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무엇인지를 간략히 제시하면서 그러한 이해가 받아들여질 때, 이념의 외화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 그것을 토대로 ‘논리학’에 대한 자연철학의 관계와 ‘체계’ 내에서의 그 의미를 제시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wang Mo photo

Lee, Kwang Mo
순헌칼리지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