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연출적 관점에서의 브랜드 스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작품 ‘향명(響明) ; 울리는 빛’ 을 중심으로 -Study on Brand Space Design Process in Convergence Perspective - Centering on “Hyang Myeong (響明); Ringing Light”-
- Other Titles
- Study on Brand Space Design Process in Convergence Perspective - Centering on “Hyang Myeong (響明); Ringing Light”-
- Authors
- 공혜림; 김경희; 이채린; 최주현; 이진민; 이성애
- Issue Date
- Aug-2018
- Publisher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Keywords
- 브랜딩; 마케팅; 융합연출; 프로모션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Brand Space Design Process; Convergence Perspective; Ringing Light
- Citation
- 숙명디자인학연구, v.26, pp 67 - 81
- Pages
- 15
- Journal Title
- 숙명디자인학연구
- Volume
- 26
- Start Page
- 67
- End Page
- 81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323
- ISSN
- 2288-0321
- Abstract
-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주)마임과 산업 연계하여 진행된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융합연출디자인워크샵' 교과목을 통해 진행된 '향명(響明); 울리는 빛' 프로젝트의 기획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주)마임의 브랜드 '오클래식', '비에타', '마임건강식품'을 브랜딩, 스타일, 마케팅적 측면에서 조사·분석하고, 최종적으로 마임의 프로모션 공간이 도출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브랜드 스페이스 디자인과 마케팅 분야에 있어서 체계적이고 융합적인 방법들로 결과물을 도출하는 방법을 정립했다. 또 본 연구의 자료가 향후 브랜드 스페이스 디자인과 마케팅 분야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브랜드 스페이스 마케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브랜드 스페이스를 개발하고 공간의 구성요소를 융합적으로 연출하는 프로세스를 마케팅 프로세스, 디자인 프로세스, 결과물 도출로 구성하여 그 과정들을 밝힌다.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와 디자인 분야의 전략을 종합하고, 기업의 홍보관, 전시관, 체험관, 판매관 등의 다양한 공간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디자인적 연결점을 찾아내 요소들 간 융합을 이루는 사례를 제시하여 브랜드 스페이스 마케팅에서 새로운 방향성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공간의 융합 연출적 구성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미술대학 > 환경디자인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