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 확장으로서의 노인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A Study of the Senior Art Educational Program as a Extension of the Social Function of Art Education

Other Titles
A Study of the Senior Art Educational Program as a Extension of the Social Function of Art Education
Authors
김향미
Issue Date
Jun-2018
Publisher
한국조형교육학회
Keywords
senior; art education; senior art education; senior art educational program; social function of art education; 노인; 미술교육; 노인 미술교육; 노인 미술교육 프로그램; 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
Citation
조형교육, no.66, pp 77 - 104
Pages
28
Journal Title
조형교육
Number
66
Start Page
77
End Page
10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470
ISSN
1225-4177
Abstract
인간의 평균 수명 연장과 전반적인 교육수준의 향상은 노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교육적 욕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들 스스로 자신의 가능성과 자아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 추세에 발맞추어 노인교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교육적 요구에 기초한 교육목적과 내용, 방법 등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래 미술교육이 주로 학교교육의 범주에서만 고려된 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기반으로, 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노인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그 구체 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노인을 중심으로 한 노인학, 노인 복지, 평생교육, 미술교육, 미술심리치료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관점과 이론을 유기적으로 검토하고, 해외 노인 미술교육 연구동향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한편, 국내 노인 미술교육의 현황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내용상, 운영상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상을 통해, 각 관점에서의 이론적 기초를 반영한 노인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함으로써 개선방안을 조망하였다. 향후 노인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노인들의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구 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나아가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적용과 실천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ang Mi photo

Kim, Hyang Mi
교육대학원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