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재필의 경제 관념 변화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Change of Seo Jae-Pil’s Economic Idea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Change of Seo Jae-Pil’s Economic Idea
- Authors
- 이황직
- Issue Date
- May-2018
- Publisher
- 한국사회이론학회
- Keywords
- Seo Jae-Pil (a.k.a. Philip Jaisohn); economic Idea; anti-business sentiment; liberal reformism; Keynesian economics; 서재필; 경제 관념; 반기업 정서; 자유주의 사회개혁론; 케인즈 경제학
- Citation
- 사회이론, v.53, pp 29 - 63
- Pages
- 35
- Journal Title
- 사회이론
- Volume
- 53
- Start Page
- 29
- End Page
- 6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519
- DOI
- 10.37245/kjst.2018.05.53.29
- ISSN
- 1598-2300
- Abstract
- 이 글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반기업 정서를 극복하기 위한 기존 경제계의 논리, 곧 기업을 통해서 국부와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경제 중심의 논리 대신에 기업 경영과 기업인의 진취성이 사회 진보와 공공성의 가치 신장에 실제로 기여한다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개혁운동가로만 알려진 서 재필의 경제적 삶과 관념의 변화 과정을 검토하여 그의 경제 관념이 실제 사회 진보와 공공적 가치 형성에 이어지는 관련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 재필의 1차 귀국기 독립신문과 독립협회 활동 기간의 경제 관념의 핵심에는 개인의 경제적 자립이 국가의 정치적 독립에 직결된다는 자유주의 사회개혁론이 있었다. 이는 유소년기 경험에서 유래하는 독립적 성격과 조선에서의 관직 체험, 그리고 망명 후 미국에서의 경험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서, 사인의 경제적 활동이 공적인 영역의 진보를 이끌어낸다는 믿음에 기초한 것이었다. 실제로 관이 민의 재산을 수탈하던 당시 조선에서 개인의 소유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자립을 강조한 서 재필의 주장은 아래로부터의 개혁이 요청된 1890년대 후반의 시점에서 전체 사회의 진보를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30대 후반 이후 서 재필은 조국의 식민지 전락과 미국의 대공황 그리고 기업 경영과 파산 같은 개인적 경험 등을 통해서 기존 자유주의 경제관에 내재한 우승열패와 제국주의 정당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의 시장 규제를 정당화하고 부의 불평등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국가를 정의로운 체계로 만들어야 한다는 경제 관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서 재필의 경제적 삶과 관념 변화 사례는 우리 사회에서 기업 경영이 공적 영역의 신장과 공적 가치 확산에도 기여한다는 경제 관념을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