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의 타당화 연구The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Short Version of Supervisory Relationship Questionnaire
- Other Titles
- The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Short Version of Supervisory Relationship Questionnaire
- Authors
- 오형경; 진미경
- Issue Date
- Apr-2018
- Publisher
- 한국상담학회
- Keywords
- 수퍼비전 관계; 작업동맹; 상담성과; 수퍼비전 만족도; K-S-SRQ; 타당화 연구; Supervison Relationship; Working Alliance; Counseling Outcome; Supervision Satisfaction; K-S-SRQ; Validation Study
- Citation
- 상담학연구, v.19, no.2, pp 25 - 41
- Pages
- 17
- Journal Title
- 상담학연구
- Volume
- 19
- Number
- 2
- Start Page
- 25
- End Page
- 41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551
- DOI
- 10.15703/kjc.19.2.201804.25
- ISSN
- 1598-2068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Cliffe, Beinart와 Cooper(2016)가 단축형으로 재구성한 수퍼비전 관계척도(Korean Short Version of Supervisory Relationship Questionnaire)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조사와 본조사 총 415명의 수퍼바이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구성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안전기반, 성찰적 교육, 구조화),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연구모형은 TLI =.92, CFI =.93, RMSEA= .08로 수용할만한 적합도지수를 보여 다른 표본 집단에서의 적용을 확인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각 하위 요인들과 수퍼비전 과정에서 평가의 진행 척도, 작업동맹 척도, 역할 갈등 역할 모호 척도, 수퍼비전 만족도 척도의 관계를 측정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한 Chronbach α 계수도 양호하여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퍼비전 관계를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수퍼바이지 개개인에게 보다 효율적인 수퍼비전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 등을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