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의 동학 정체성을 위한 조건들The Conditions for the 4th Donghak Identity
- Other Titles
- The Conditions for the 4th Donghak Identity
- Authors
- 임상욱
- Issue Date
- Mar-2018
- Publisher
- 동학학회
- Keywords
- Identity of Donghak; Cheondogyo; Religious Population; Identity Politics; Methodology of Life; Bogukanmin; Muguekdaedo; Valueoriented Solidarity; 동학의 정체성; 천도교; 종교 인구; 정체성 정치; 삶의 방법론; 보국안민; 무극대도; 가치 중심의 연대
- Citation
- 동학학보, v.46, pp.7 - 42
- Journal Title
- 동학학보
- Volume
- 46
- Start Page
- 7
- End Page
- 42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599
- ISSN
- 1598-7566
-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동학 정체성의 조건은 과연 무엇일 수 있는지를탐색하는 데에 있다. 현대적 의미에서, 보국안민과 무극대도는 좀 더 확장된형태로의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문헌연구방법론을 채택하였고, 그에 더해 우리 나라의 종교 인구 관련 통계자료(2005, 2015)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통계 지표를 통해 동학의 정량적 정체성을 진단한다. 이는 동학 공동체의 외적인 역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살피려는 것이다. 둘째, 서학과 종교 관련성에서 동학의 정성적 정체성을 탐색한다. 이는 초기 동학이 서학으로 의심받다가 후에 천도교라는 종교로 공식화된 이유를 살피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정체성 정치에서 벗어나기 이다. 즉, 동학하는 사람이란 만물의 안녕을 위한 가치를 탐색하고 실현해가는 개인을 지칭하는 이름이다. 둘째, 종교적·비종교적 배타성에서 벗어나기 이다. 즉, 동학 공동체란 그런 개인들이 모인 가치 중심의 연대를 지칭하는 이름이다. 동학의 본질은 이러한 삶의 방식을 의미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