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내담자의 상담 참여결정 요인에 대한 인식Perception of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on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in Counseling
- Other Titles
- Perception of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on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in Counseling
- Authors
- 박수영; 공춘옥; 정윤경
- Issue Date
- Jun-2018
- Publisher
- 한국상담학회
- Keywords
- lesbian; gay; bisexual; help-seeking; concept mapping; 동성애자; 양성애자; 도움추구; 개념도
- Citation
- 상담학연구, v.19, no.3, pp.367 - 383
- Journal Title
- 상담학연구
- Volume
- 19
- Number
- 3
- Start Page
- 367
- End Page
- 38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899
- DOI
- 10.15703/kjc.19.3.201806.367
- ISSN
- 1598-2068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참여결정에 있어서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내담자가 고려한 요인들에 대한 인식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상담 경험이 있는 18명의 성소수자(LGB)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 상담에 참여하기로 결정할 때 고려했던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 도출된 43개의 고려 요인을 가지고 연구 참여자들에게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요청하였으며, 18명의 분류자료를 종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 및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성소수자 내담자의 상담 참여결정 요인에 대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한 상담 참여결정에 대한 고려 요인은 개념도 상에서 2차원 5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차원은 ‘일반적 상담 역량’ 대 ‘성소수자 상담 역량’ 차원과 ‘상담자/상담소의 내적 특성’ 대 ‘상담자/상담소의 외적 특성’ 차원으로 나타났으며, 범주는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기본적인 태도’, ‘전문가로서 상담자에 대한 긍정적 인식’, ‘성소수자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과 태도’, ‘성소수자 상담이 가능한 상담자/상담소’, ‘상담자/상담소의 물리적․심리적 접근성’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평정 결과, 상담 참여결정에 있어서 성소수자 내담자들은 ‘성소수자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과 태도’,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기본적인 태도’, ‘전문가로서 상담자에 대한 긍정적 인식’ 범주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소수자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