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 다시 읽기-‘문화주의’와 근대 금욕윤리의 이념적 효과를 중심으로Re-reading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in Lee, Kwang-Su- focused on the ideological effects of culturalism and asceticism
- Other Titles
- Re-reading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in Lee, Kwang-Su- focused on the ideological effects of culturalism and asceticism
- Authors
- 김병구
- Issue Date
- Nov-2017
- Publisher
- 대중서사학회
- Keywords
- Kwang-Su; nationalism;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Taisho Japan' s culturalism; politics; culture; the artistic reconstruction; Musil(務實); Yeoghang(力行); abstinence ethics; self-discipline; national psychology; 이광수; 민족주의; 민족성 개조론; 다이쇼 문화주의; 정치; 문화; 예술적 개조; 무실; 역행; 금욕윤리; 자기규율; 민족심리학
- Citation
- 대중서사연구, v.23, no.4, pp.9 - 43
- Journal Title
- 대중서사연구
- Volume
- 23
- Number
- 4
- Start Page
- 9
- End Page
- 4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042
- DOI
- 10.18856/jpn.2017.23.4.001
- ISSN
- 1738-3188
- Abstract
- 본 연구는 보편주의와 특수주의의 역설적 접속을 본질로 하는 민족주의의 특성에 주목하여 이광수 ‘민족성 개조론’의 이념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논점은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은 다이쇼 시기 식민 제국 일본의 ‘문화주의’를 이념적 근거로 하여 형성되었다. 이광수는 ‘민족성 개조론’에서 정치성을 배제하고 도덕적인 방면에서 민족 개조 운동을 전개할 것을 주장한다. 이런 주장은 정치와 문화의 분리, 문화의 특권화로 대변되는 다이쇼기 일본 문화주의의 이념적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문화주의의 이념적 효과로 이광수는 ‘인격’의 완성을 ‘민족성 개조’의 목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예술과 인생, 정신과 권력을 대립적으로 바라보고, 문화 자체가 정치의 타당한 대체물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민족성 개조론’에서 역사적 현실의 문제는 괄호화되고 만다.
둘째, 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은 ‘무실’과 ‘역행’을 실천 원리로 삼고 있다. ‘무실’과 ‘역행’은 개인이 ‘자기규율’의 정신에 따라 근면한 직업인으로 성장해가는 것을 삶의 목표로 설정한다. 따라서 ‘무실’과 ‘역행’의 특징은 직업윤리 및 노동윤리의 내면화에 있다. 자기규율의 정신과 노동윤리의 내면화는 근대 금욕윤리의 특징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은 근대의 금욕윤리를 내재화한 담론이라 할 수 있다. 이광수가 ‘무실’과 ‘역행’의 실천 원리를 통해 ‘민족성 개조’의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었던 것은 르봉의 ‘민족심리학’ 수용을 통해 ‘민족성’이라는 형이상학적 본성을 상정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러나 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에 내재된 근대의 금욕윤리는 역사적 현실의 문제 해결을 개인의 심리적 태도 전환, 즉 인생의 ‘예술적 개조’로 치환함으로써 현실 자체를 무화하는 이념적 효과를 낳게 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