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공공간의 실내벽면녹화디자인 특성 연구- 감성이미지 언어에 따른 선호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door Green-Wall Design in Public Space- Focused on Preference of Emotional Image Language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door Green-Wall Design in Public Space- Focused on Preference of Emotional Image Language -
Authors
이지현장영순진혜련홍정표
Issue Date
Jun-2014
Publisher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Keywords
Green-Walll Design; Public Space; Emotional Image Language; Preference; 벽면녹화디자인; 공공 공간; 감성이미지언어; 선호도
Citatio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13, no.2, pp 121 - 133
Pages
13
Journal Title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olume
13
Number
2
Start Page
121
End Page
13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065
DOI
10.21195/jidr.2014.13.2.011
ISSN
1598-4605
Abstract
본 연구는 실내 벽면녹화디자인의 공간 영역확대와 관람자 선호요인을 파악하여 실내 공간 디자인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선행연구에서의 한계점이었던 각 공간의 공통적인 선호 요인이 추출되지 않은 점을 보완하고, 관람자의 타입별 선호 요인의 상호 관계성을 요소의 구체적인 공통특성으로 추출해냄으로써 공공공간에서의 벽면녹화 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로 관람자들은 자극물에 대해 ‘쾌적한, 과한’의 2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인지하였고,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형용사 이미지 언어는 ‘쾌적한, 편안한, 깨끗한, 조화로운, 상쾌한, 세련된’ 으로 나타났다. 자극물에 대한 선호디자인 요소의 공통되는 중요도는 색채>구성요소>이미지>형태․식물특성>식물형태 순이었으며, 구체적인 디자인 수준별 요소는 모던, 가구, 대비조, 복합형, 복합식물류, 복합형 식물형태로 추출되었다. 본 연구는 각 공간별 실내 벽면녹화디자인의 정량적 측정에 관련한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 방향제시의 기회를 갖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각 공간의 검증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