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위법을 원용한 화예조형의 음악적 특질에 관한 연구A Study on Musical Features of Formative Flower Arts Quoted from Counterpoint
- Other Titles
- A Study on Musical Features of Formative Flower Arts Quoted from Counterpoint
- Authors
- 윤화진
- Issue Date
- Jun-2008
- Publisher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 Keywords
- floral art; counterpoint; musical features; 화예; 대위법; 음악적 특질
- Citation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no.18, pp.49 - 66
- Journal Title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Number
- 18
- Start Page
- 49
- End Page
- 66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515
- ISSN
- 1598-1223
- Abstract
- 본고는 음악적 원리와 음악에서 느끼는 감성이 조형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하였다 . 청각을 전달수단으로 하는 음악과 시각을 전달수단으로 하는 시각예술 사이에는 상호간에 별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역사적으로 자신의 예술작품에 타 분야의 예술의 원리를 원용하는 예는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 이에 본고는 52 한국 화예디자인학 연구 제18집음악의 작곡 원리 중 대위법을 원용해 화예조형의 음악적 특질에 관해 연구분석함으로써 화예조형의 분석 및 조형원리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을 제시했다 . 2장에서는 음악의 특질을 대위법을 중심으로 대표 양식인 카논과 푸가에 관해 살펴보았으며, 3장에서는 음악적 원리인 대위법을 미술에 원용한 사례를 칸딘스키 , 클레, 스텔라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작품에서 대위법의 음악적 특질 중 개별성 , 하모니, 동시성, 반복, 변형, 대조, 모방 등의 조형원리를 추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본 미술에서 나타난 음악의 대위법적 특질인 조형원리와 3장의 미술 분야에서 원용했던 조형원리를 중심으로 실제 화예작품을 분석하였으며 , 분석의 결과 음악적 특질인 조형원리가 화예조형에서도 원용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장르의 예술이 타 예술 영역과의 조우를 통하여 보다 폭넓은 조형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 이러한 일련의 연구는 타 분야의 조형원리의 원용을 통한 화예조형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심도 깊고 다양한 화예조형 표현을 유도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