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漢字語 敎育을 위한 등급별 漢字語 목록의 漢字 頻度 硏究A Study of Chinese Character Frequency in the Graded Lexicon for efficient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 Other Titles
- A Study of Chinese Character Frequency in the Graded Lexicon for efficient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 Authors
- 이영희
- Issue Date
- Jun-2010
- Publisher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Keywords
-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graded Korean lexicon; cumulative frequency; cumulative rate; positional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漢字 頻度; 等級別 漢字語 目錄; 累積頻度; 累積比率; 位置別 頻度
- Citation
- 어문연구(語文硏究), v.38, no.2, pp.471 - 495
- Journal Title
- 어문연구(語文硏究)
- Volume
- 38
- Number
- 2
- Start Page
- 471
- End Page
- 49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537
- DOI
- 10.15822/skllr.2010.38.2.471
- ISSN
- 1229-1617
- Abstract
- 본 硏究는 等級別 漢字語 目錄에서 한자의 單純 頻度와 位置別 頻度를 산출하여, 效率的인 漢字語 교육에 이용하는 方案을 논하였다. 漢字語 186,982개에서 추출한 漢字 5,249개의 頻度를 조사한 결과, 累積 比率 50%의 漢字語를 이해하려면 337字가, 90%를 理解하려면 1,713字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高頻度 10位 한자는 ‘學> 人> 不> 生> 法> 大> 化> 地> 性> 物’ 順이었으며, 이를 4개 어휘 목록의 高頻度 10위 한자와 비교하면 ‘人, 生, 大, 學’이 공통 출현하여, 이들이 한자어 교육에 有用한 한자임을 밝혔다. 等級이 낮을수록 저빈도 한자가 대부분이므로, 段階的인 한자어 교육에 필요한 한자 數는 학습에 큰 負擔이 되지 않음을 主張하였다. 高頻度 50字의 위치별 頻度는 語頭 39.39%, 語末 57.5%, 語中 2.68%로 語末이 가장 높았다. 頻度 결과는 한자어 교육 時 明示的으로 提示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