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860년대 미국의 아프리카계 해방노예 교육운동The Education Movement for African-American Freedmen in the 1860s

Other Titles
The Education Movement for African-American Freedmen in the 1860s
Authors
박은진
Issue Date
Aug-2015
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아프리카연구소
Keywords
교육; 해방노예; 도망노예; 해방노예국; 미국선교협회; education; freedmen; contraband; Freedmen’s Bureau; American Missionary Association
Citation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38, no.1, pp 3 - 36
Pages
34
Journal Title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ume
38
Number
1
Start Page
3
End Page
3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379
ISSN
2466-1821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남북전쟁 직후 미국 남부에서 펼쳐진 아프리카계 해방노예들을 위한 교육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동기 및 교육활동을 살펴보았다. 먼저, 전쟁 당시 연방군과 전쟁 후 창설된 연방기구 ‘해방노예국’ 관리들은 해방노예들이 자유노동자로 전환하는 과정을 도와줌에 있어서 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해방노예교육운동을 선도하였다. 둘째, 미국선교협회(American Missionary Association)를 비롯한 북부 자선단체들의 지원을 받아 파견된 북부 교사들은 해방노예들을 교육하는 것이야말로 노예제를 허용했던 미국의 국가적 죄를 속죄하는 길이라 믿었다. 마지막으로, 해방노예들은 교육과 자유를 동일시하고, 교육을 통해 사회경제적 기회를 취하기 위해 자녀들과 자신들을 위한 교육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연방관리들, 교사들, 그리고 해방노예들의 헌신과 성취에도 불구하고, 인적, 물질적 자원의 부족과 열악한 환경은 해방노예교육에 있어서 장애가 되었다. 또한 남부 백인들은 해방노예학교운동 및 북부인들에 대해 극심한 적대감을 갖고 방해하였다. 북부 교사들 및 연방관리들이 북부 출신의 흑인교사들에게조차 보였던 인종주의적 태도는 교사들 간의 긴밀한 결속력을 저해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60년대 해방노예교육운동은 그 다음 세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교육 및 자조(自助) 활동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글로벌서비스학부 > 글로벌협력전공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Eun Jin photo

Park, Eun Jin
글로벌서비스학부 (글로벌협력전공)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