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울지역 미 북장로회선교부의 교육사업 철수와 학교 인계 연구 -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를 중심으로 -The Withdrawal of Educational Ministr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from Seoul and the Transfer of Schools : Focused on Kyungsin School and Jungsin Girl’s School

Other Titles
The Withdrawal of Educational Ministr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from Seoul and the Transfer of Schools : Focused on Kyungsin School and Jungsin Girl’s School
Authors
박혜진
Issue Date
Mar-2010
Publisher
한국기독교역사학회
Keywords
미북장로회선교부; 중등학교; 미션스쿨; 경신학교; 정신여학교; 교육사업 철수; 경성노회; 최태영; 이종만; 쿤스(Edwin. W. Koons); 언더우드(Horace H. Underwood); 루이스(Margo Lee Lewis);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secondary school; mission school; Kyungsin School; Jungsin Girl’s School; Withdrawal of educational ministry; Kyungsung Presbytery; Choi Tae Young; Lee Jong Man; Edwin W. Koons; Horace H. Underwood; Margo Lee Lewis
Citation
한국기독교와 역사, no.32, pp 159 - 193
Pages
35
Journal Title
한국기독교와 역사
Number
32
Start Page
159
End Page
19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4932
DOI
10.18021/chk..32.201003.159
ISSN
1598-7256
Abstract
1930년대 들어 일제는 기독교계 학교에까지 신사참배를 강요하였다. 그 논리는 교육과 종교는 다르며, 신사참배는 국가적 의식이지 종교적 의식이 아니므로 국가의식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기독교계 학교들을 일제에 순응하는 학교로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미북장로회선교부는 서울, 평양, 대구, 선천의 네 선교지부에서 8개의 남녀 중등학교를 경영하였다. 1936년 북장로회선교부 회의에서 교육철수가 결의된 이후, 한국인들은 각 지역의 학교들을 인계해 달라고 청원하였다. 특히 서울의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에 대해 학교 이사회, 동문회, 경성노회 등 각 단체에서 서울선교지부와 선교부 실행위원회 및 해외선교부에 끊임없이 인계 요청을 하였다. 경신학교에서는 안악 김씨 문중과 협의하여 5개년 대차안 상정한 것이 부결되자, 「경신학교 이사회규칙」을 내세워 학교의 경영권을 방어하고자 하였다. 결국 한국인 설립자를 충원하는 문제가 조선총독부에서 허가됨으로써 학교 인계 문제가 힘을 얻었고 김씨 문중이 북장로회선교부에 사례금을 주고 경신학교를 인계하게 되었다. 정신여학교는 경성노회와 동창회가 협력하여 학교를 인수하기로 하였으나 어렵게 되었고, 이종만이 가장 유력한 인계 후보자였는데 해외선교부와의 수 차례 논의 과정에서 이종만측의 제안이 계속 거부당했다. 정신여학교에 대한 여러 번의 인계 노력은 실패하였고, 선교사들이 강제 추방당하게 되면서 학교는 적산(敵産)으로 인수되어 풍문재단으로 흡수되었다. 서울지역 북장로회선교부 교육사업 철수에 따른 학교 인계 과정에서 쿤스, 언더우드 등 교육 현장에 있었던 선교사들은 한국인에게 학교를 인계하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이었다. 그에 따라 학교 이사회, 동문회, 경성노회 등 한국인들은 학교 인계에 대한 희망을 갖고 대책 마련을 위해 애썼다.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의 폐교를 막기 위해 한국인들은 주도적인 활동을 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역사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