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구성과 해석을 통한 자기성찰 과정 : 미술치료에서의 이야기 꾸미기Self-Reflection through Construction & Interpretation: Making a Story in Art Therapy

Other Titles
Self-Reflection through Construction & Interpretation: Making a Story in Art Therapy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Jan-2010
Publisher
한국교육인류학회
Keywords
making a story; construction; interpretation; art therapy;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making a story; construction; interpretation; art therapy;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이야기 꾸미기; 구성; 해석; 미술치료;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
Citation
교육인류학연구, v.13, no.1, pp 1 - 30
Pages
30
Journal Title
교육인류학연구
Volume
13
Number
1
Start Page
1
End Page
30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4976
DOI
10.17318/jae.2010.13.1.001
ISSN
1229-3911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 기법 중 이야기 꾸미기 과정에서의 작품을 구성하고 그것을 내담자 자신의 언어로 해석하고 표현하는 내담자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포착하여 텍스트로 표현하고자 이야기 꾸미기 과정에서의 내담자의 구성과 해석 경험을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미술치료사로서 본 연구자가 진행하였던 한 명의 내담자의 미술치료 사례 중 2회기 사례를 선정하여 내담자가 제작한 이야기 꾸미기 작품과 내담자 자신의 언어적 해석 내용 및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기록을 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반복적인 반성적 과정을 거쳐 이야기 꾸미기 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을 분석한 결과 ‘고정시키기’, ‘나(me)에서 타자로, 타자에서 나(I)로’, ‘상징의 해석’, ‘설명에서 이해로’, ‘의사소통: 조절과 동화’, ‘현존재의 드러남: 수용과 용서를 향한 기투’ 등 6가지의 본질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은 매체를 선택하여 화면이라는 초시간적 공간에 그림을 그리는 단계, 내담자 스스로가 완성한 작품을 감상하는 단계, 내담자가 자신의 작품을 언어적으로 설명하는 단계 등 세 단계로 나누어지고 있고 내담자는 각각의 단계마다 서로 다른 본질적 주제들을 경험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미술치료 기법들이 내담자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선행연구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미술치료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미술치료 접근 방법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