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피해 여성들의 ‘성장(thriving)’ 경험의 의미On the Meanings of Thriving Experiences through Sexual Violence
- Other Titles
- On the Meanings of Thriving Experiences through Sexual Violence
- Authors
- 공춘옥; 김봉환
- Issue Date
- Dec-2014
- Publisher
- 한국여성심리학회
- Keywords
- thriving; sexual violence; trauma; phenomenological method; 성폭력; 성장(thriving); 외상; 현상학적 연구
- Citation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v.19, no.4, pp.409 - 431
- Journal Title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Volume
- 19
- Number
- 4
- Start Page
- 409
- End Page
- 431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714
- DOI
- 10.18205/kpa.2014.19.4.004
- ISSN
- 1229-0726
- Abstract
-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에게 ‘성장(thriving)’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봄으로써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에게 있어서 ‘성장’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20대에서 40대의 여성으로 일정기간 상담이나 프로그램 참여를 한 사람으로서 눈덩이표집방식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의 반 매넌(van Manen)의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참여자의 경험의 의미에 집중하고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와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과정 중에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할 때도 현상학적 연구자의 자세를 유지하며 성폭력 피해에 있어서 성장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상위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6개의 상위 주제는 <치유의 변주곡 연주하기>, <외상의 기억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자경(自敬)하기>, <타인, 세상과 온전하게 소통하기>, <원하는 생애사 건축하기>, <또다른 성장을 향해 나아가기>로 나타났다. 성폭력에 있어서 외상을 통한 ‘성장’에 관련된 질적연구가 초기단계인 상황에서 외상을 통한 ‘성장’의 경험을 자세하게 기술하여 어떤 측면에서 역량이 강화되고 삶을 더 성숙하게 살게 되었으며, 남아있는 과제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볼 수 있었다. 또, 상담 장면에서도 내담자의 증상에 함몰되지 않고 내담자가 갖고 있는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믿으며 상담에서 앞으로 나아가야할 목표, 방향성을 찾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