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A Preliminary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Korean version in College Students

Other Titles
A Preliminary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Korean version in College Students
Authors
김호영이주영조상수이임순김지혜
Issue Date
Feb-2005
Publisher
한국임상심리학회
Keywords
성인 ADHD; 한국형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 신뢰도; 타당도; adult ADHD; CAARS; reliability; validity
Cita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24, no.1, pp 171 - 186
Pages
16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ume
24
Number
1
Start Page
171
End Page
18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7577
ISSN
2733-4538
Abstract
아동기의 대표적인 정신장애로만 인식되어왔던 ADHD가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만성장애로서 인식되어 감에 따라 성인 ADHD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ADHD의 평가 도구 중 하나인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CAARS, Conners, Erhardt & Sparrow, 1999)를 번안하고,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그 심리 측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내적 일치도의 파악 및 요인 분석을 위해 대학생 912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CAARS(CAARS-K)를 실시하였으며, 추가로 대학생 5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공존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CAARS-K의 각 하위 척도는 내적 일치도가 모두 양호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개념의 문제’ 척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척도는 성인기 주의력결핍 증상과 아동기 ADHD 증상을 측정하는 기존의 척도와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요인 분석 결과, 3개의 구성 요인이 채택되었으며, 이 요인 구조는 전체 분산의 34.2%를 설명하였다. 각 요인은 ‘정서적 문제’, ‘과잉 활동성 및 충동성’, ‘관리 기능 상의 문제’로 명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Korean version(CAARS-K). Participants were 912 normal college students for the examination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factor analysis. Additionally 55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examine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CAARS-K. The four factor-driven subscales of the CAARS-K produc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relatively strong test-retest reliability over one or two week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other ADHD measur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somewhat different results compared to those of antecedent research and suggested a three-factor structure accounting for 34.2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 These factors were termed by emotional problems, hyperactivity/impulsivity, deficient executive func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