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남성무용수 이미지에 대한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인식 차이 분석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Image of Male Dancers between Dance Majors and Non-Majors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Image of Male Dancers between Dance Majors and Non-Majors
Authors
배성한
Issue Date
Jun-2014
Publisher
무용역사기록학회
Keywords
남성무용수의 이미지; 무용수 인식차이; 의미변별법; 갭 분석; Image of Male Dancers; Difference of Perception of Dancer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Gap Analysis
Citation
무용역사기록학, v.33, pp 135 - 152
Pages
18
Journal Title
무용역사기록학
Volume
33
Start Page
135
End Page
152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932
ISSN
2383-521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남성무용수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를 구성하 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무용수 이미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무선집락표집 (cluster 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 각각 150명씩 표집하였다. 장동환(1964)에서 밝혀낸 50개의 형용사군을 기초로 하고, 박경숙(1974), 이학주(2000), 정애연(2007) 의 연구에서 사용된 형용사군을 참고하여 총 30개의 형용사군을 골라 척도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날씬하다’ 항목이 전공유무에 상관없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항목에 대해서는 무용 전공자는 ‘안전하다’의 항목이, 비전공자는 ‘대하기쉽다’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무용수의 이미지는 전공유무에 관계없이 중간점수인 3점을 기준으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 이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 간의 무용수 이미지에 대한 갭을 살펴보면 ‘능력있다 ’항목이 차이가 가장 크 게 나타났다. 넷째, 7개의 항목은 무용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23개의 문항에서 비전 공자의 남성무용수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의 남성무용수에 대한 인식은 전공유무에 상관없이 대체 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전통예술학과 > 전통무용전공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