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철학 논고』의 ‘부정적 사실’에 관하여On the negative facts of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 Other Titles
- On the negative facts of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 Authors
- 박정일
- Issue Date
- Feb-201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Keywords
-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 논고』; 부정적 사실; 긍정적 사실; 세계; 현실; 근본 사상; Wittgenstein;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Positive Facts; Negative Facts; World; Reality; Fundamental Thought
- Citation
- 철학사상, v.51, pp 173 - 200
- Pages
- 28
- Journal Title
- 철학사상
- Volume
- 51
- Start Page
- 173
- End Page
- 20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139
- DOI
- 10.15750/chss..51.201402.007007
- ISSN
- 1226-7007
- Abstract
- 비트겐슈타인의 『논고』에서 가장 난해한 문제 중 하나는 “긍정적 사실”과 “부정적 사실”이 무엇인지, 그리고 ‘현실’과 ‘세계’의 개념이 동일한 것이냐 하는 것이다. 포겔린과 피처는 ‘현실’이 ‘세계’보다 더 넓은 개념이라고 보았으며, 비트겐슈타인이 2.063에서 그것들을 동일화하는 것을 실수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존립하는 사태들”과 “사태들의 존립”을 동일화하는 오류를 범했을 뿐이다. 블랙과 남경희는 『논고』에서 ‘현실’과 ‘세계’가 둘 다 부정적 사실들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대단히 피상적인 논의를 하고 있을 뿐, 어떤 정당한 근거도 제시하지 않았고 또 제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옳은 것은 『논고』에서 세계에는, 또 현실에는 부정적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논고』에서 ‘전체 현실’과 ‘세계’는 동일하고 외연이 같다.
우리는 이 점을 『논고』라는 텍스트에 입각해서 해석하고 해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겔린의 주장, 즉 이 문제와 관련하여 어떤 완벽한 용어법의 복원도 가능하지 않다는 주장은 결코 옳지 않다. 더 나아가 『논고』에서 부정적 사실에 대한 논의는 “근본 사상”으로 나아가는 매우 중요한 경로이다. 그렇기 때문에 포겔린의 주장과 달리, 2.063의 언급은 매우 “깊은 체계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