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화츙션생젼>의 인물 형상과 그 의미Characterization and Its Significance in <Hwachungsunsaengjeon>

Other Titles
Characterization and Its Significance in <Hwachungsunsaengjeon>
Authors
김선현
Issue Date
Dec-2013
Publisher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Keywords
<Hwachungsunsaengjeon>; <Jangkkijeon>; Character formation; Adaptation; Novels for Commercial Circulation; <화츙션젼>; <장끼전>; 인물 형상; 개작; 세책본 소설
Citation
인문학연구, no.24, pp 57 - 87
Pages
31
Journal Title
인문학연구
Number
24
Start Page
57
End Page
87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184
ISSN
1229-5485
Abstract
이 논문은 <화츙션젼> 서사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작품에 나타난 인물 형상과 여기에 반영된 개작 의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화츙션젼>은 특정 화소가 삽입되거나 확장되면서 장형화된 작품으로, 개작자는 <장끼전> 작품군의 공통 서사를 유지한 채 서술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서사를 삽입함으로써 작품의 편폭을 확대시켰다. 특정 서사의 삽입과 삭제는 필연적으로 작품의 주제나 인물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며, 이를 통해 개작자의 개작 의식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에 필자는 <화츙션젼> 서사의 특징을 바탕으로 변화된 인물 형상에 주목하면서 여기에 반영된 개작자의 개작 의식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 작품에는 장끼가 서대쥐에게 양식을 빌리는 화소가 삽입되어 있는데, 여기서 가정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던, 현실감 있는 가장으로서 장끼의 면모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에는 홀로 남은 까투리가 토로하는 과부 설움 장면이 확장되어 있으며, 그 뒤에 까투리의 혼인 잔치 서사가 삽입되고 있다. 여기서 과부가 된 까투리의 심적, 외적 어려움과 더불어 그녀의 욕망까지 두루 살피고자 했던 개작자의 여성적 시선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리고 탁첨지 서사 단락의 확장을 통해 탁첨지로 표상된 하층민의 삶을 현실적으로 그리고자 했던 개작자의 시선을 엿볼 수 있었다. 다만 이 작품이 세책본 소설임을 감안해 본다면, 이러한 개작은 독자를 고려한 개작자의 시선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한국어문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on Hyeon photo

Kim, Seon Hyeon
문과대학 (한국어문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