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주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차이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Head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Head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 Authors
- 모아라
- Issue Date
- Apr-2012
- Publisher
- 대한아동복지학회
- Keywords
- 주임교사; 변혁적 리더십; 인식차이; 직무만족도; Head Teac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fferences in Recognition; Job Satisfaction
- Citation
- 아동복지연구, v.10, no.1, pp 23 - 40
- Pages
- 18
- Journal Title
- 아동복지연구
- Volume
- 10
- Number
- 1
- Start Page
- 23
- End Page
- 4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2021
- ISSN
- 1738-3986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경력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차이와 그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ㆍ경기 및 기타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주임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경력에 따른 인식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의 평가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어린이집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CJSS)중 직무만족도를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한 구성요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경력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 전체 하위 요인에 대해 지각 차이를 보이며, 주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 전체와 그 하위 요인별로도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동료 교사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 보수와 승진 기회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임교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변혁적 리더십과 같은 리더십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국한된 연구이므로 일반화하기 어려운바 전국 단위의 연구를 통해 자세한 연구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는 바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