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일에 대한 상황적 동기(SIMS) 척도의 타당화The Validity of a Situational Motivation Scal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Regarding Work

Other Titles
The Validity of a Situational Motivation Scal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Regarding Work
Authors
황혜원김봉환
Issue Date
Oct-2013
Publisher
한국상담학회
Keywords
self-determination; The Situational Motivation Scale; Basic Psychological Need; 자기결정성; 상황적 동기척도; 기본심리욕구
Citation
상담학연구, v.14, no.5, pp 2891 - 2906
Pages
16
Journal Title
상담학연구
Volume
14
Number
5
Start Page
2891
End Page
290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261
DOI
10.15703/kjc.14.5.201310.2891
ISSN
1598-2068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상황적 동기척도를 직장인의 일에 대한 동기 척도로 적합하게 수정하여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자는 1차 연구과정으로 2013년 2월 18일부터 29일까지 수도권 지역 100명 이상 있는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 직장인 303명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6문항 중에서 4개의 요인으로 묶여지지 않는 2문항을 발견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제시한 4요인 중에서 요인 1과 요인 3은 일관되게 한 요인으로 묶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요인 2와 요인 4는 각각의 요인으로 묶이지 않는 것으로 발견하였다. 2차 연구과정에서는 본 연구자가 2013년 5월 27일부터 6월 5일까지 직장인 224명과 군부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군무원 55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여 구조적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일에 대한 상황적 동기와 기본심리욕구와의 관계에서 상황적 동기가 높을수록 기본심리욕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위요인 중 무동기가 높은 수준일 경우 기본심리욕구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