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伎樂의 음악 복원에 관한 시론 - 13세기 이전 사료를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선-
dc.date.available2021-02-22T10:57:28Z-
dc.date.issued2012-12-
dc.identifier.issn1226-3443-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5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악의 음악 복원의 첫 단계로, 일본에 전하고 있는 12세기의 고토(箏) 악보 『인지요록』과 13세기의 후에(笛) 악보 『기악보』에 수록된 기악의 악곡을 오선보로 역보하여 그 모습을 파악하고 음악적인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먼저, 역보에 앞서 두 악보의 기보법과 조현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악기인 고토는 조현에 따라 음고가 달라지기 때문에 『인지요록』을 『기악보』와 비교하였고, 이를 통하여 『인지요록』의 조현은 일월성조와 평조 적(笛) 반섭조의 두 종류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았다. 둘째, 『인지요록』의 9곡과 『기악보』의 7곡을 오선보로 역보했다. 구체적인 역보 방법은 첫 곡인 <사자>를 예로 들어 진행하였다. 셋째, 역보한 두 악보를 악조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인지요록』에 수록된 악곡은 모두 ‘d’가 궁인 일월조 1종류인데 비해 종지음은 ‘d’, ‘e’, ‘a’, ‘b’의 4종류이다. 반면, 『기악보』의 악조는 일월조(d가 궁), 평조(e가 궁), 반섭조(b가 궁)의 3종류이고, 종지음도 각각 ‘d’, ‘e’, ‘b’로, 각 악조의 궁과 종지음은 모두 일치한다. 넷째, 두 악보의 특징을 종지음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종지형은 크게 세 유형으로 나뉘는데, 제1유형은 ‘d’(일월) 종지형으로, 『인지요록』과 『기악보』의 악조는 모두 일월조로 일치한다. 제2유형은 ‘e’(평조) 종지형으로, 『인지요록』의 악조는 일월조인데 비하여 『기악보』는 평조이다. 제3유형은 ‘b’(반섭) 종지형으로, 『인지요록』의 악조는 일월조이고 『기악보』는 반섭조이다. 이렇게 『인지요록』과 『기악보』는 악조가 서로 같은 경우(제1유형)와 다른 경우(제2·3유형)가 있지만, 종지음은 모든 곡에서 서로 일치한다. 다섯째, 『인지요록』과 『기악보』의 선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곤륜>을 제외한 곡은 서로 동일한 선율선을 갖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만, 선율은 일치하지만 길이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곡의 길이가 서로 다른 악곡을 보면, 『기악보』가 긴 경우는 있어도 『인지요록』이 긴 경우는 없다. 따라서 후대로 가면서 악곡의 길이가 늘어나 형태가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악조, 종지음, 선율의 측면의 종합하면, 『인지요록』은 모두 일월조의 악곡이고 『기악보』는 일월조, 평조, 반섭조의 악곡으로 구성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두 악보는 종지음과 선율의 측면에서 일치하고 있다. 이것은 『인지요록』의 악조는 한 종류로 표기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음악적 내용은 여러 악조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음악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지을 수 있는 음악적 특징을 찾을 수는 없었다. 이것은 이미 10세기경부터 기악이 가가쿠의 영향을 받기 시작해 12, 13세기경에는 일본화가 많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고,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모습은 고대 한국음악인 기악의 편린을 찾아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dc.format.extent54-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음악사학회-
dc.title伎樂의 음악 복원에 관한 시론 - 13세기 이전 사료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Musical Restoration of Kiak - Focu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before the 13th Century --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South Korea-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음악사학보, no.49, pp 405 - 458-
dc.citation.title한국음악사학보-
dc.citation.number49-
dc.citation.startPage405-
dc.citation.endPage458-
dc.identifier.kciidART001726978-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kiak (kigaku)-
dc.subject.keywordAuthorChinchi yoroku-
dc.subject.keywordAuthorKigakuhu-
dc.subject.keywordAuthormusical restoration-
dc.subject.keywordAuthorgagaku-
dc.subject.keywordAuthor기악-
dc.subject.keywordAuthor인지요록-
dc.subject.keywordAuthor기악보-
dc.subject.keywordAuthor음악 복원-
dc.subject.keywordAuthor가가쿠-
dc.subject.keywordAuthor고대 한국음악-
dc.identifier.url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28602-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일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i Sun photo

Lee, Ji Sun
문과대학 (일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