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 역할 정체감을 중심으로A Study on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age-Migrant Women: Focusing on Gender Role Identity
- Other Titles
- A Study on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age-Migrant Women: Focusing on Gender Role Identity
- Authors
- 김미우; 김영란
- Issue Date
- Feb-2012
- Publisher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 Keywords
- International Marriage; Marriage-Migrant Women; Marital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of Gender Role; Gender Role Identity; 국제 결혼; 결혼이주여성; 결혼만족도; 성 역할 특성; 성 역할 정체감
- Citation
- 다문화사회연구, v.5, no.1, pp.111 - 142
- Journal Title
- 다문화사회연구
- Volume
- 5
- Number
- 1
- Start Page
- 111
- End Page
- 142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813
- DOI
- 10.15685/jms.2012.02.5.1.111
- ISSN
- 2005-2553
- Abstract
- 본 연구는 한국 남성과 결혼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출신국에 따라 국가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주자, 소수자 그리고 여성으로서 한국사회에서 매우 특수한 위치에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성 역할 정체감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삶의 만족이 높을수록, 성 역할 정체감 하위요인인 남성성․양성성 정체감이 높을수록, 결혼이주여성은 결혼만족도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남성성 정체감은 국적에 따라 집단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결혼이주여성은 동일한 하나의 집단이 아니므로 국적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여 정책 프로그램 및 사회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성 역할 정체감을 높일 수 있도록 이주 여성을 위한 다양한 사회참여 프로그램을 제공해주고, 경제적 수준이 높지 않음을 고려하여 취업이나 창업프로그램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도록 결혼이주여성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이는 곧 결혼생활에 만족감을 높여주어 우리 사회가 건강한 사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을 한 집단으로 볼 것이 아니라 출신국 국적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환기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결혼이주 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과 성공적인 삶의 정착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사회심리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