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레이티브를 통한 아동의 애착 평가: 임상군과 비임상군간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행동, 가족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Children's Attachment Representations Based on the Narrative Method: The Relationship to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perceptions of family through a comparison of clinical samples vs. non-clinical samples
- Other Titles
- Children's Attachment Representations Based on the Narrative Method: The Relationship to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perceptions of family through a comparison of clinical samples vs. non-clinical samples
- Authors
- 진미경
- Issue Date
- Dec-2011
- Publisher
- 한국인간발달학회
- Keywords
- child attachment; mother-child interaction; perception about family; 아동 애착;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가족 인식
- Citation
- 인간발달연구, v.18, no.4, pp 63 - 78
- Pages
- 16
- Journal Title
- 인간발달연구
- Volume
- 18
- Number
- 4
- Start Page
- 63
- End Page
- 78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869
- ISSN
- 1226-4474
- Abstract
- 본 연구는 임상군과 비임상군 아동들간 애착유형별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행동과 가족에 대한 인식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나레이티브를 통한 아동의 애착 평가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임상군에 있어서는 6-9세 연령의 K대학병원 소아정신과를 내원한 62명의 아동과 어머니들이다. 비임상군에 있어서는 53명의 아동과 어머니들이 참여하였다. 아동의 애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해 맨체스터 애착 이야기 검사(Manchester Attachment Story Task)가 실행되어졌고,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행동 관찰을 위해 정서적 가용성 척도(emotional availability scale)가 이용되어졌으며, 아동의 가족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Fury의 가족화 척도가 이용되어졌다. 그 결과 아동 애착이 안정인 그룹에 있어 어머니의 비침해적 행동이 임상군과 비임상군간에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가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아동 애착이 안정인 그룹에 있어 정서적 거리감, 역할전이 척도 점수가 임상군과 비임상군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아동 애착이 불안정인 그룹에 있어서는 정서적 거리감 척도 점수가 임상군과 비임상군간에 차이가 있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