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암 예방을 위한 식사 지침 제정Establishment of Korean Dietary Guidelines for Cancer Prevention
- Other Titles
- Establishment of Korean Dietary Guidelines for Cancer Prevention
- Authors
- 이심열; 신명희; 성미경; 백희영; 박유경; 김정선; 손정우; 김원경; 정현주; 안윤옥
- Issue Date
- Sep-2011
- Publisher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 Keywords
- Neoplasms; Diet; Nutrition policy; 암; 식이요인; 식사 지침
- Cita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11, no.3, pp 129 - 143
- Pages
- 15
- Journal Title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Volume
- 11
- Number
- 3
- Start Page
- 129
- End Page
- 143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6927
- ISSN
- 2234-2141
2093-5676
- Abstract
- 연구배경: 암은 한국인 사망 원인 1위의 질환으로,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양식이 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2007년 세계암연구재단(World Cancer Research Fund)은 암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10개의 지침을 발표하였다. 이는 암 발생 및 관리에 관련된 과학적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식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내용들로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과학적 증거중심방법에 입각한 한국인의 암 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은 제정되지 않고 있다.
방법: 이미 과학적 증거중심방법에 의해 암과 식생활의관련성을 연구한 문헌들과 한국인들 대상으로 한 관련 연구 결과들을 검토하여 6개 영역에 걸쳐 15개의 암 발생에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식이요인들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식이요인들의 우리나라 섭취수준을 분석하여 그결과의 시사점을 정리하고 종합하여 한국인의 암 예방을위한 식사지침과 지침별 세부실천사항을 제정하였다.
결과: 한국인의 암 예방을 위한 식사지침은 체중, 곡류섭취, 채소와 과일 섭취, 육류 섭취, 염분 섭취, 유제품 섭취, 음주와 영양보충제 등에 관한 문헌과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총 8개의 지침과 각 지침별 상세한 실천사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가능한 한 최근의 자료를 분석하여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한국인의 암 예방을 위한 식사 지침을 제정하였으나 일부 영역에서는 한국인의 섭취 수준을 분석할 수 없거나 불충분하게 분석된 식이 요인들도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데이터베이스 보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수행, 일상섭취량 추정, 암 발생 및 사망 자료와의 연결 분석 등을 통해 암 예방을 위한 식사지침개정과암 예방을 위한 국가 정책의 입안과 개선의 기초 자료가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식품영양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