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담자의 타당화 경험이 작업동맹과 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작업동맹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Mediating Effect of Working Alliance in the between Perceived Validation of Counselor and Session Evaluation
- Other Titles
- Mediating Effect of Working Alliance in the between Perceived Validation of Counselor and Session Evaluation
- Authors
- 성예경; 최한나
- Issue Date
- Mar-2011
- Publisher
- 한국상담학회
- Keywords
- Validation intervention; Working alliance; Session evaluation; Counseling process; Counseling outcome; 타당화 개입; 작업동맹; 회기평가; 상담과정; 상담성과
- Citation
- 상담학연구, v.12, no.1, pp 315 - 332
- Pages
- 18
- Journal Title
- 상담학연구
- Volume
- 12
- Number
- 1
- Start Page
- 315
- End Page
- 332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7078
- DOI
- 10.15703/kjc.12.1.201103.315
- ISSN
- 1598-2068
- Abstract
- 본 연구는 상담과정에서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자의 타당화(Validation) 개입이 작업동맹과 회기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내담자의 타당화 경험이 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작업동맹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상담을 받고 있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내담자 11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은 상담자와 내담자간 작업동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하위요인인 정서적 유대와 목표 및 과제 합의 모두와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은 내담자가 상담을 깊이 있고 순조롭게 느끼는 것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셋째, 작업동맹이 회기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이 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작업동맹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연구와 상담 실제를 위한 제언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