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청소년용 대상화된 신체의식 척도(K-OBC-Y)의 타당화 연구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
- Other Titles
-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
- Authors
- 구자연; 하은혜
- Issue Date
- Aug-2010
- Publisher
- 한국놀이치료학회
- Keywords
- K-OBC-Y;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body image; K-OBC-Y; 대상화된 신체의식; 신체 감시성; 신체 수치심; 신체이미지; K-OBC-Y;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body image
- Citation
- 한국놀이치료학회지, v.13, no.3, pp 141 - 158
- Pages
- 18
- Journal Title
- 한국놀이치료학회지
- Volume
- 13
- Number
- 3
- Start Page
- 141
- End Page
- 158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7243
- ISSN
- 1229-0858
2384-0153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청소년용 대상화된 신체의식 척도(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 K-OBC-Y)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중, 고등학교 남녀학생 754명(남학생 305명, 여학생 449명)이었다. K-OBC-Y의 요인분석 결과 요인 1은 ‘신체 감시성’, 요인 2는 ‘신체 수치심’으로 구성되었다. K-OBC-Y의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비교에서 성별과 학교급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교급 효과도 없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 여학생의 점수가 남학생에 비해 높았다. K-OBC-Y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척도 간 상관관계가 높았다.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신체의식 관련 척도인 신체존중감 척도(BESAA),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SATAQ), 공적 자기의식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K-OBC-Y와 신체존중감 척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 및 공적 자기의식 척도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섭식장애 증상의 유/무로 집단을 구분하여 K-OBC-Y의 하위척도인 신체 감시성, 신체 수치심과 전체 척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섭식장애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내적합치도 Cronbach α를 산출한 결과, 신체 감시성 α=.86, 신체 수치심 α=.77, K-OBC-Y 총점 α=.84로 나타났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