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방각소설 신자료 고찰A Study on the New Discovered Old Novel Texts that printed by Woodblock in Hangeul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New Discovered Old Novel Texts that printed by Woodblock in Hangeul
- Authors
- 전상욱
- Issue Date
- Jun-2010
- Publisher
- 열상고전연구회
- Keywords
- Woodblock print; Byeol-Weolbonggi; Weolbonggi; Seminhwangjejeon; Dangtae- jongjeon; Sodaeseongjeon; Jangpungunjeon; Seoul edition; Jeonju edition; 방각본; 별월봉기; 월봉기; 세민황제전; 당태종전; 소대성전; 장풍운전; 경판본; 완판본; Woodblock print; Byeol-Weolbonggi; Weolbonggi; Seminhwangjejeon; Dangtae- jongjeon; Sodaeseongjeon; Jangpungunjeon; Seoul edition; Jeonju edition
- Citation
- 열상고전연구, v.31, pp 143 - 167
- Pages
- 25
- Journal Title
- 열상고전연구
- Volume
- 31
- Start Page
- 143
- End Page
- 167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7286
- DOI
- 10.15859/yscs..31.201006.143
- ISSN
- 1738-2734
- Abstract
- 조선후기에서 근대초기에 고전소설이 본격적으로 대중적이고 상업적으로 유통되는데, 그 대표적인 형태가 세책본, 방각본, 활판본이다. 이러한 대중적⋅상업적 유통 형태는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면서 텍스트가 고정되어 간다는 점에서 고전소설 연구의 가장 기초적인 연구 대상으로 중요성을 지닌다. 이 논문은 방각본으로 간행된 한글고전소설 가운데 그 동안 학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거나 존재 자체만 알려졌을 뿐 구체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없었던 자료 몇 종을 소개함으로써, 방각본 소설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고 상업적 유통망에서 텍스트가 어떻게 변모해 나가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 다룬 작품은 <별월봉기>, <세민황제전>, <소대성전>, <장풍운전> 등이다.
<별월봉기>는 1823년 전주 구곡(龜谷)에서 간행되었는데, 완판본 한글고전소설 가운데 간행시기가 가장 이른 작품으로 의미가 있다. 현재 하권 48장본만이 전하고 있다. <세민황제전>은 1864년에 간행된 작품으로 어휘나 서체를 통해 볼 때 완판본으로 추정된다. 현재 상권 50장본만이 전하고 있다. <소대성전> 가운데는 완판 40장본, 경판 17장본, 경판 16장본 등을 소개했다. <장풍운전> 가운데는 완판 36장 초간본을 소개했다. 이들 판본들은 경판방각소설과 완판방각소설의 텍스트 변모 과정을 보다 소상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고를 바탕으로 각 판본의 보다 자세한 이본 연구와 심층적인 의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고, 이를 통해 방각본 고전소설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유통사적 의미를 완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한국어문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