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친화적 조직문화,조직유효성,직장 및 가정생활 갈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The Relations among Women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Organization Effectiveness, Workplace and Family Conflict, and Subjective Well-being
- Other Titles
- The Relations among Women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Organization Effectiveness, Workplace and Family Conflict, and Subjective Well-being
- Authors
- 이숙정; 오재림
- Issue Date
- May-2010
- Publisher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 Keywords
- 여성친화; 조직문화; 조직유효성; 직장 및 가정생활 갈등; 주관적 안녕감; Women 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Organization Effectiveness; Workplace and Family Conflict; Subjective Well-being
- Citation
- 아시아여성연구, v.49, no.1, pp 7 - 40
- Pages
- 34
- Journal Title
- 아시아여성연구
- Volume
- 49
- Number
- 1
- Start Page
- 7
- End Page
- 40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7318
- ISSN
- 1225-9241
- Abstract
- 본 논문은 저출산,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와 여성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여성친화적 조직문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이러한 여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직장 및 가정생활갈등과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여성친화적 조직문화의 확산을 위한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중소기업체의 남․녀 직장인 413명(남:207명,여: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우선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배경,즉 연령,학력,결혼여부,직종 및 직위,직장규모 등에 따른 여성친화적 조직문화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이러한 기본적인 분석을 토대로 여성친화적 조직문화의 형성 수준에 따른 조직유효성,직장 및 가정생활 갈등과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마지막으로 여성친화적 조직문화가 나머지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여성친화적 조직문화는 조직유효성과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관계,직장 및 가정생활 갈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근로자들이 지각하는 여성친화적 조직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과 주관적 안녕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직장과 가정생활 갈등은 감소하였다.회귀분석 결과,여성친화적 조직문화는 조직유효성 전체변량의 25.1%,직장 및 가정생활 갈등의 3.5%,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의 8.5%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회귀계수 값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1).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