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의 측면에서 이해한 군자의 품성 및 그 계발 -『논어』를 중심으로Character of Virtuous Man(君子) and It's Development comprehended in terms of Leadership --- centering on『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 Other Titles
- Character of Virtuous Man(君子) and It's Development comprehended in terms of Leadership --- centering on『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 Authors
- 김수동
- Issue Date
- Jun-2009
- Publisher
-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 Keywords
- The Analects of Confucius; virtuous man; character; leader; leadership; The Analects of Confucius; virtuous man; character; leader; leadership; 논어; 군자; 품성; 리더; 리더십
- Citation
- 한국교육논단, v.8, no.2, pp 87 - 107
- Pages
- 21
- Journal Title
- 한국교육논단
- Volume
- 8
- Number
- 2
- Start Page
- 87
- End Page
- 107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7591
- ISSN
- 1598-4036
- Abstract
- 이 논문은 『논어』에 나타난 리더로서의 군자, 리더십으로서의 군자의 품성과 그 계발을 논의하여 동양사상의 측면에서 리더와 리더의 품성에 관한 개념을 재정립하며 품성의 계발에 관한 시사점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과 훈련을 통해 군자는 만들어진다. 군자는 비전․용기․덕(德)'이 있고, 남을 설득할 수 있으며, 주변의 오디언스들의 지지를 받는 지도자로 설명된다. 군자에게는 인(仁) 뿐만 아니라, 의(義)․예(禮)․지(智)․신(信)과 그에 관련된 공(恭)․관(寬)․민(敏)․혜(惠), 효(孝)․제(弟), 충서(忠恕), 책임․배려․사랑, 겸손함, 유연성, 통찰력 등의 품성이 있다. 『논어』에 나타난 개괄적인 리더십 개발의 순서는 '수신(修身), 내적 리더십'에서 '치인(治人), 외적 리더십'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그에 따른 품성 계발은 인(仁), 예(禮), 악(樂)을 내면화, 습관화하는 데 있으며, 겸손한 마음가짐과 유연한 태도를 지니고 구사(九思), 구용(九容)으로 심신을 수양하는 과정을 반복, 갱신하는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