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보육교사들의 심층적 이야기를 통한 보육교사와 학부모와의 긍정적 관계 설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Grounded Theoretical Approaching regarding Positive Relationship Set between Childcare Teacher and Parent

Other Titles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ing regarding Positive Relationship Set between Childcare Teacher and Parent
Authors
박미현
Issue Date
Sep-2017
Publisher
열린부모교육학회
Keywords
Grounded Theory; Parent of Children; Childcare Teacher; 근거이론; 학부모; 교사
Citation
열린부모교육연구, v.9, no.3, pp 197 - 220
Pages
24
Journal Title
열린부모교육연구
Volume
9
Number
3
Start Page
197
End Page
220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8935
ISSN
2092-5743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학부모-교사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보육교사와 학부모와의 긍정적 관계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질적 연구인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현재 수원과 용인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을 개방 코딩하여 90개의 개념으로부터 27개의 하위점주와 13개의 범주를 추출하여 패러다임을 구성하였다. 중심현상은 학부모와 교사가 소비자와 서비스직과의 관계, 지나치게 친근한 관계로 교사는 학부모 관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불신과 교사의 사회적 지위하락이며, 맥락적 조건은 교사 양성기관의 문제점과 교사의 근무 조건 열악 그리고 부모의 기대와 교사가 기대하는 역할의 차이였다. 중재적 조건은 관계를 악화시키는 것으로는 편파적인 언론의 보도와 무심한 교사, 무심한 부모가 있으며 완화시키는 것은 학부모의 신뢰였다. 전략은 교사 스스로의 신념과 태도의 변화의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인식의 변화의 사회적 차원으로 볼 수 있다. 결과는 학부모와 의견을 수용하는 관계를 유지하여 존중받고 신뢰받는 교사로 권리를 존중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 스스로 자신들의 권리를 인식하는 신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 등 태도의 변화로 부모와 어려운 관계를 극복하고, 사회적 지원 속에서 부모와 교사 사이의 역할 기대차이를 줄여 서로의 의견을 수용하고 존중하고 신뢰하는 관계를 유지할 때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긍정적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는 핵심 범주를 추출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search their relation and establish positiv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The investigator applied to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methodolog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uwon and Yongin cities. By putting the interviews to open encoding, the investigator extracted 13 categories and 27 subcategories out of total 90 concepts and used them to build a paradigm. Core phenomenon was extremely familiar relation due to degrade of teacher`s rights; Not parents of children to(&) teachers and consumers to(&) services, and the causal result was mistrust in their professionalism and degrade of their social posi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problems of training academy, inferior work conditions and difference of expectation between them. Intervention conditions were those; what to make worse for their relation were one-side broadcast, innocent teachers and parents, oppositely what to make better was parents of children` trust There were two kind of strategies. one was individual dimension for change of their attitude and belief by themselves, another was social dimension for change of social cogn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ir rights was respected like as trusted teachers by keeping relation accommodated parents` opinion. Thus this study extracted a core category that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m could be refurbished keeping them respectable and reliable accommodated their opinions each other with lessened contrast and overcoming the trouble with parents just like change of a firm faith recognizing their right, effort for enhance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