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손녀를 돌보는 어느 조모의 생애사를 통한 모성연구Research on Korean Elderly Woman’s Motherhood Life while Providing Child Care for Her Granddaughter

Other Titles
Research on Korean Elderly Woman’s Motherhood Life while Providing Child Care for Her Granddaughter
Authors
길은영
Issue Date
Dec-2017
Publisher
한국교육인류학회
Keywords
Life history; Nurture; Care Work; Mothering; Motherhood; 생애사; 돌봄; 양육; 어머니역할; 모성
Citation
교육인류학연구, v.20, no.4, pp 261 - 303
Pages
43
Journal Title
교육인류학연구
Volume
20
Number
4
Start Page
261
End Page
30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8947
DOI
10.17318/jae.2017.20.4.007
ISSN
1229-3911
Abstract
본 연구는 손녀를 양육하는 어느 조모의 생애사를 통해 양육경험과 모성의 의미를 알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에서 모성은 단순히 임신과 출산, 수유 등으로 한정되는 생물학적 속성 외에도 여성의 경험적 특질인 긍정성과 더불어 큰 사회적 함의를 지닌다. 사회와 가족의 변화와 함께 모성의 의미는 시대별로 다양한 의미와 담론을 형성해 왔고 모성은 어머니와 자녀를 둘러싼 다양한 삶의 상황이 함께 어우러진 복잡한 구성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정환경 중에서도 한 부모가정의 손녀를 돌보는 조모의 모성이 생애와 양육경험에 어떻게 발현되고 실천되어 왔는지에 집중하였다. 김 할머니는 82세 여성 노인으로 해방 전후에 출생하여 한국전쟁을 제주도에서 겪었고, 부산, 경기도와 서울에 거주하면서 어린 시절부터 동생들과 친척, 결혼 후에는 두 자녀와 손녀를 기른 어머니이다. 김 할머니의 생애사를 통해 발현된 모성은 아들과 딸, 그리고 남의 아이, 내 아이 구분 없이 ‘똑같이 나누어 먹는 것’이며, 기꺼이 양육을 ‘떠안고’, ‘부지런히’ 돌보는 것이었다. 김 할머니는 자신과 손녀의 성장을 ‘뿌듯이, 뿌듯하게’ 여겼으며, 생애 후반에 직면한 죽음에 앞서, ‘돌보기 위해 살아남아’ 자신의 존재와 삶의 의미를 모성에서 찾는 것으로 귀결하였다. 본 연구가 손녀를 기르는 한 조모의 생애사에서 발견한 모성의 의미이나, 삶의 맥락에 따른 모성의 다양한 의미를 이해함은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와 할머니들, 아이를 기르는 이들에게 주체적으로 모성을 구성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