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빈곤이 부모우울과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아동과 청소년의 다집단 분석-The Effects of Poverty on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diated by Parental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 Multi-Group Analysi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overty on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diated by Parental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 Multi-Group Analysi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
Authors
백혜영
Issue Date
Jun-2017
Publisher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Keywords
빈곤 아동․청소년; 학업성취; 부모우울; 가족 내 사회적 자본; Poverty Child &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Parental Depression;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Citation
학교사회복지, no.38, pp 47 - 74
Pages
28
Journal Title
학교사회복지
Number
38
Start Page
47
End Page
7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026
ISSN
1975-1567
Abstract
본 연구는 빈곤여부에 따라 아동․청소년의 부모 우울과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아동․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따른 모형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에서 수집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621명, 중학교 1~3학년 청소년 646명 등 전체 1267명의 아동과 청소년,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한 2차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소벨검증(Sobel test)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아동과 청소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아동․청소년은 일반아동․청소년에 비해 부모의 우울 수준이 높았으며,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부족하고, 학업성취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곤여부는 매개변수인 부모우울,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학업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경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아동․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 간 빈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동의 경우 빈곤이 매개변수를 통해 학업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청소년은 빈곤이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빈곤가정의 아동․청소년의 학업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해 부모 우울의 감소와 가족 내 사회적 자본 확대의 필요성을 지적하였으며, 특히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발달단계의 차이를 고려한 정책적, 실천적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arental depress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by poverty and test model differences by their development stage. For this, secondary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267 children & adolescents (4-6th graders: 621, 7-9th graders: 646) and their parents through ‘2013 Korean Youth General Survey ’,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tes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furthermore, multi-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Th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Poverty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stead, it revealed indirect influence through parental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on paths.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s by their development stage, among children, poverty had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mediators. In adolescents, on the contrary, poverty had direct influence on the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entioned a necessity of reducing parental depression and increasing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for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poor familie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생활과학대학 > 아동복지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