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초등학교 음악 교과 담당 교사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Other Titles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uthors
신혜경
Issue Date
Dec-2020
Publisher
한국예술교육학회
Keywords
Elementary music education; music curriculum;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key competency; music subject competency; 초등음악교육; 음악교육과정; 2015 개정 음악교육과정; 핵심역량; 음악 교과 역량
Citation
예술교육연구, v.18, no.4, pp 177 - 196
Pages
20
Journal Title
예술교육연구
Volume
18
Number
4
Start Page
177
End Page
19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05
ISSN
1738-8309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 실태 및 지원 필요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국 단위의 음악 교과 담당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301명을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공통 강조 사항에 대한 인식,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실행 상의 난점과 지원 요구를 다면적으로 분석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공통 강조 사항에 관한 이해와 음악과 교육과정에의 반영, 수업 실천 및 변화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업 변화에 대한 긍정 응답률이 다소 낮아 이해와 실천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도 긍정적이었다. 교사들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 및 강조 사항, 교과 역량, 핵심 개념, 학습량과 내용 수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방법 및 유의 사항’의 유용성에 대하여 타당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교과 역량이나 핵심 개념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의 적용 방안 고찰의 필요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상의 난점과 지원 요구,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개선점은 수업 적용을 축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및 평가자료 제공과 악기와 음악실을 비롯한 수업 환경 구축이 관건이었다. 차기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선 사항 역시 교과서의 내용 및 구성 보완과 수업 자료 및 교구 지원이 중심을 이루었다. 특히 교과 역량의 의미 이해와 국악의 난이도 조정 및 내용의 다양성, 학습자 흥미도 반영에 대한 요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current state of implementation and support needs of the 2015 re- vised music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included a multi-faceted analysis to examine the common emphasi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 demands of support for 30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music curriculum across the country. The conclusions drawn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understanding the common emphasi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ing it in music and curriculum, and practicing and changing lessons were found to be positiv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understanding and practice, for the response rate of positive responses to the changes in class was rather low.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under- 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found to be positive. Teachers rec- ognized that the changes in and the emphasis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curriculum com- petency, core concepts, learning volume and content level, and the usefulness of “teaching and learn- 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valid. Further, there was a need to determine how to ap- ply abstract concepts such as subject matter and core concept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 ognized the difficulties in the revision of the music curriculum in 2015, the demands for support, and the improvements required for revising the next curriculum. The key was to provide teaching, learn- ing, and evaluation materials and build a classroom environment that includes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 rooms. The improvement of the next music curriculum also focused on supplementing the con- tents of textbooks,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ids. In particular,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 tion to the dema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urriculum competency, adjust to the difficul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understand the diversity of contents, and reflect learners’ intere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