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유공간 '셰어링 스페이스'의 공간 유형 분석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tial Typology of Sharing Spac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tial Typology of Sharing Space
Authors
신은별이진민
Issue Date
Dec-2016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eywords
공유 공간; 공유 경제; 공간 유형 분석; Sharing space; Sharing economy; Analysis of Spatial Typology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14, no.4, pp 199 - 218
Pages
20
Journal Title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ume
14
Number
4
Start Page
199
End Page
21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108
DOI
10.18852/bdak.2016.14.4.199
ISSN
1738-0863
Abstract
기술의 발달과 온라인 플랫폼의 구축은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고 잉여, 유휴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공유 경제’가 대두되었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의 양상을 공유 경제의 개념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공유 공간’의 개념 확장과 그에 따른 공간 유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서울시가 진행한 ‘공유기업 지정 및 사업비 지원사업’에 선정된 공유기업·단체 중 ‘공간’ 분야의 35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첫째, ‘공유허브(sharehubkr)’에 공개된 정보를 수집. 둘째,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대상 사례를 ‘공유 경제 및 사회 문제 유형’과 ‘공유 공간의 기능, 운용, 상태’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유형화한다. 셋째, 유형에 따른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여 현재 공유 공간의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유형을 밝힘으로써 균형적인 공유 공간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한다. 공유 공간은 숙박, 문화 및 기타의 기존 공간을플랫폼 방식으로 운용하고, 주거, 사무의 실공간을 신축하여 공유하며, 유휴공간을 플랫폼과 기획 및 매니지먼트로 운용하여 문화 및 기타 기능으로 활용하려는 유형이 두드러진다. 또한 공간서비스 및 재분배 의 공유경제 유형으로 복지, 문화의 사회문제 해결하는 모델 개발이 필요하며 숙박, 주차의 오프라인으로 범위 확장과 유휴공간의 실공간 공유로 오프라인의 커뮤니티 형성, 그리고 주거, 사무 기능의 플랫폼 활용과 기획 및 매니지먼트로 공간 공유가 활성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 개념의 보편적 확대에 따른 소비 행태 변화를 바탕으로 ‘공유(共有)공간’의 용어 재정의와 개념 확장을 통해 공간적 유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발전적 전개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미술대학 > 환경디자인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hie, Jin Min photo

Rhie, Jin Min
미술대학 (환경디자인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