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 총체적 학습사회론A new paradigm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a theory of the comprehensive learning society -
- Other Titles
- A new paradigm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a theory of the comprehensive learning society -
- Authors
- 김장호
- Issue Date
- Dec-2004
- Publisher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Keywords
- Learning society; Comprehensive learning societ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ocio-economic paradigm; 학습사회; 총체적 학습사회; 인적자원개발; 사회경제 패러다임; Learning society; Comprehensive learning societ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ocio-economic paradigm
- Citation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v.7, no.2, pp.103 - 129
- Journal Title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Volume
- 7
- Number
- 2
- Start Page
- 103
- End Page
- 129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300
- ISSN
- 2586-5048
- Abstract
- 오늘날 고도로 네트워크화 된 사회에서 개인, 조직 및 사회 제 차원에 걸쳐 새로운 학습 환경이 조성되고 있고 이는 학습사회 개념에 대한 재조명을 요청하고 있다. ‘총체적 학습사회’란 기존의 학습사회 개념을 계승하면서도 한계를 극복하려는 개념적 시도이다.
새로운 사회경제 패러다임은 탈산업화, 정보화, 유연생산방식, 지식기반경제, 네트워크조직, 협동적 노사관계 등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사회경제 패러다임의 변화는 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청한다. 새로운 인적자원개발 패러다임은 수요자가 주도하고 국가와 민간이 협치(cooperative governance)하며, 분권화, 지방화, 능력중심의 인증체제, 현장학습, 계속 교육훈련과 평생학습,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방식, 지식노동능력, 혁신능력의 배양을 그 특징으로 한다. 총체적 학습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은 물론 기업조직을 비롯한 각종 조직과 정부 차원에서의 입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상대학 > 경제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