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소비자 특성별체감경기와 거시경제지표 간의 관계 분석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entiment and Macro-economic Indices by Consumer’s Characteristics
- Other Titles
-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entiment and Macro-economic Indices by Consumer’s Characteristics
- Authors
- 김영준; 신석하
- Issue Date
- Nov-2016
- Publisher
- 한국산학기술학회
- Keywords
- Business Cycle; Consumer Confidence; Consumer Sentiment; Consumer Sentiment Index; Macro-economic Indices
- Citation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17, no.11, pp 474 - 482
- Pages
- 9
- Journal Title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Volume
- 17
- Number
- 11
- Start Page
- 474
- End Page
- 482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351
- DOI
- 10.5762/KAIS.2016.17.11.474
- ISSN
- 1975-4701
2288-4688
- Abstract
- 본고에서는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가 경제성장률 등 통상적인 거시경제지표와 괴리될 수 있으며, 특히 소득, 연령, 종사상의 지위 등 각 소비자들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체감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소비자들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조사를 통해 파악되는 현재생활형편 소비자심리지수(CSI)를 사용하였으며 전반적인 실물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국내총생산(계절조정) 전기대비 증가율을 이용하였다. 이 외에 개별 소비자들의 체감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임금, 구인배율, 주택매매가격, 주가지수, 생활물가지수, 가계부채상환부담 등을 고려하였는데 분석결과 상기한 거시경제지표들이 소비자들의 체감경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소득, 연령, 종사상의 지위 등 소비자의 특성별로 그룹을 나누어 분석하여 본 결과, 상기한 거시경제지표들이 체감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소비자 그룹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가 경제성장률로 대표되는 실물경기 지표와 크게 괴리되었던 과거의 경우에도 임금, 구인배율 등 상기한 거시경제지표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하면 이러한 괴리의 상당 부분을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경상대학 > 경제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