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Bodily, Aesthetic, and Ethical Dimensions of Martial Arts as Social Practices

Authors
이기범
Issue Date
Dec-2004
Publisher
한국체육철학회
Keywords
사회적 실천; 탁월성; 신체적 체험; 미학적 체험; 윤리적 체험
Citati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12, no.2, pp 419 - 433
Pages
15
Journal Title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ume
12
Number
2
Start Page
419
End Page
43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544
ISSN
2671-6755
2671-6356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 무도(武道)를 사회적 실천으로 이해하고, 2)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무도를 구성하는 신체적 체험, 미학적 체험과 윤리적 체험의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사회적 실천은 특정한 기술과 지식이 요구되는 일련의 협업적 활동들을 지속하여, 특정한 목표와 탁월성을 지향한다. 다른 형태의 사회적 실천에 비해, 무도는 신체적 체험을 통하여 미학적·윤리적 체험을 한다. 반복되는 신체 단련에서 비롯되는 신체적 체험은 자아성취감, 심신의 최적 조화로서의 몰입, 내적 학습 모델을 생산한다. 이러한 신체적 체험은 동료와 사범들과 함께 협업적으로 이루어진다. 신체적 체험이 일정 수준 이상 성장하게 되면, 자신만의 고유한 기술과 스타일을 창안하고자 수련하는 미학적 영역을 체험하게 된다. 미학적 체험은 무도 수련의 중요한 계기이지만, 집착하게 되면 자신의 세계에 고립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자신의 고유성은 자기 이해, 자기 성찰, 자기 발전을 향한 의지로 성숙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도장의 구성원들은 서로의 수련을 존중하고 학습하는 윤리적 관계를 맺어야 한다. 윤리적 체험은 무도의 세계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로 확대되어 무도를 수련하는 사람으로서 윤리적 책임감을 발휘하도록 성숙되어야 한다. 신체적 체험이 무도의 토대가 되지만, 미학적 체험 그리고 윤리적 체험과 조화를 이루며 성장할 때 무도는 사회적 실천으로서 수련의 탁월성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