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ent Engagement Improving Student AchievementStudent Engagement Improving Student Achievement
- Other Titles
- Student Engagement Improving Student Achievement
- Authors
- 박소영
- Issue Date
- Oct-2004
- Keywords
- student engagement; student achievement; hierarchical linear modeling5; 자발적 참여; 학업성취; 위계적 선형모형
- Citation
- 한국교육, v.31, no.3, pp 457 - 475
- Pages
- 19
- Journal Title
- 한국교육
- Volume
- 31
- Number
- 3
- Start Page
- 457
- End Page
- 475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560
- ISSN
- 1599-2659
- Abstract
- 학업성취도 예언변인으로서의 학생의 자발적 참여에 관한 연구박 소 영(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학생의 학습은 교사만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의 자발적 참여의식 혹은 관심이 학습을 성공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간주된다. 최근 미국의 교육개혁에서 학생의 자발적 참여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선행연구에서도 자발적인 참여도가 높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학습에 대한 열의도 높고 학습한 내용을 내면화하는 경향이 크다고 한다. 이상적인 학습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수업에서의 학생의 자발적 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자발적 참여와 그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자발적 참여가 학생의 학업성취를 예측해낼 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학생의 자발적참여를 1수준에서의 예측변인으로 두고 교사변인을 2수준의 변인으로 상정하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생의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 인종을 고려한 후에도 학생의 자발적 참여는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자발적 참여가 높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더 많이 학습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도 일관성을 지니는 것이다. 교사변인 중에서는 경력변인이 학생 학업성취를 정적으로 예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학생의 자발적 참여가 학생의 학습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으며 교사의 경력은 보상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문과대학 > 교육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