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독본(讀本)을 통해 본 근대적 텍스트의 형성과 변화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자황-
dc.date.available2021-02-22T11:25:39Z-
dc.date.issued2004-08-
dc.identifier.issn2005-7261-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9588-
dc.description.abstract‘독본(讀本)’은 교과서형태로 등장한 근대적 텍스트이다. 근대적 학제의 도입과 교과의 재편은 필연적으로 공식적 교과용 도서, 즉 교과서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바, 근대형성기 교과서는 근대담론의 재편과 함께 근대적 의미의 문학이 본격적으로 형성·분화·편제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데 유용하다. 근대문학의 총체적 파악이 작품과 문학제도의 동시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할 때, 독본류가 주목되는 이유는 그것이 표준적 지식체계를 배타적으로 정립하고 재생산구조를 확보하는 제도적 매체였다는 점에 있다. 더욱이 이러한 매체의 형성과정에서 독본은 사실상 제도적-비제도적, 관(官)-민(民), 일제-조선의 ‘근대지(智)’가 충돌하는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따라서 독본에 대한 관심과 궁극적 분석은 조선적 근대 담론의 형성과정은 물론 ‘문학의 정전화(正典化)’ 과정을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탈식민의 계기까지도 징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이 글은 독본류가 형성하는 제도적 어문교육과 그 안에서의 특징을 살펴보는 한편, 교과서 밖의 교과서로서 독본류가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으며, 특정시기 경향적으로 형성되는 의미는 무엇이고, 그것이 언제까지 어떻게 나름의 재생산 구조를 가지고 유지되어 나가는지를 살펴보았다. 근대형성기 ‘독본(讀本)’은 중세적 환경에 놓여져 있었던 학제와 문학적 체계를 근대제도 안으로 끌어들었다. 그러나 완전히 새로운 체제로 재편하지는 못했다. 독본의 위상은 분명 신문이나 잡지와 구별된다. 넒은 의미의 근대지(智)를 보급하고 그것을 통해 독자적인 근대를 기획, 상상, 설계하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독본은 자기 나름의 ‘근대적 이정(里程)’를 명시하고, 배타적으로 견인하는 매체이자 제도였던 것이다. 예컨대, 『소년』, 『청춘』을 통해 세계적 지식, 그리고 그 안에서의 세계문학을 배타적으로 형성해냈다면, 『시문독본』에서는 서구문학의 사례가 거의 없고, 고전 작품 등이 빈번히 등장하면서 한국근대문학의 정전적 모범을 만들어가는 시도 했던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보자면, 독본(讀本)이란 ‘상상의 국어국문학’으로 나아가는 길목에 놓인 ‘표준적 체계를 갖춘 확고한 제도로서의 로드맵’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일제의 교육 정책 및 제도권 교과서 대(對) 조선인의 적극적인 취학 의지 및 비교과서라는 구도는 서로 동상이몽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점차 그 양상을 달리하고, 결과적으로는 1930년대 이르러는 취학률의 폭발이라는 현상과 더불어 매체간의 치열한 싸움이 제도와 비제도적으로 진행되어 감을 알 수 있다. 그것의 기본적 양상은 ‘독본(讀本)’이 대중을 상대로 계몽과 근대지의 보급에 주안점을 두었던 독자를 세분하고, 문학에 대한 인식을 정밀하게 진행시켜가면서 ‘강화(講話)’의 형태로 나아간다고 할 수 있다.-
dc.format.extent32-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상허학회-
dc.title독본(讀本)을 통해 본 근대적 텍스트의 형성과 변화-
dc.title.alternativeBirth and Evolution of Modern Texts from the Perspective of a Reader-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상허학보, v.13, pp 213 - 244-
dc.citation.title상허학보-
dc.citation.volume13-
dc.citation.startPage213-
dc.citation.endPage244-
dc.identifier.kciidART00096190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reader-
dc.subject.keywordAuthormodern text-
dc.subject.keywordAuthorconflicting modern mind-
dc.subject.keywordAuthorcanonization-
dc.subject.keywordAuthorand lecture-
dc.subject.keywordAuthor독본(讀本)-
dc.subject.keywordAuthor근대적 텍스트-
dc.subject.keywordAuthor근대지(智)의 충돌-
dc.subject.keywordAuthor정전화(正典化)-
dc.subject.keywordAuthor강화(講話)-
dc.subject.keywordAuthorreader-
dc.subject.keywordAuthormodern text-
dc.subject.keywordAuthorconflicting modern mind-
dc.subject.keywordAuthorcanonization-
dc.subject.keywordAuthorand lecture-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61902-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Gu, Ja Hwang photo

Gu, Ja Hwang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