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샌드박스네트워크의 MCN(Multi-Channel Network)시장 진입 전략The Sandbox Network’s Strategies for MCN (Multi-Channel Network) Market Entry

Other Titles
The Sandbox Network’s Strategies for MCN (Multi-Channel Network) Market Entry
Authors
Park, SangchulLee, Shinhyoung
Issue Date
Aug-2019
Publisher
한국경영학회
Citation
Korea Business Review, v.23, no.3, pp 99 - 123
Pages
25
Journal Title
Korea Business Review
Volume
23
Number
3
Start Page
99
End Page
123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1.sw.sookmyung/821
DOI
10.17287/kbr.2019.23.3.99
ISSN
1226-4997
Abstract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맞물려, 크리에이터 매니지먼트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MCN 산업규모도 더불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MCN 기업들의 경쟁 구도 속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는 샌드박스네트워크에 주목하고 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인기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직접 설립한 MCN 기업으로, 동료 크리에이터들에게 보다 나은 창작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설립 목적을 갖고 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창립 이후 3년 만에 누적 투자액 400억 원과 연 매출액 282억 원을 달성하는 등 상당한 재무적 성과를 거두며 업계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였다. 이는 샌드박스네트워크가 후발주자로 시장에 진입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놀라운 결과이다. 본 연구는 샌드박스네트워크의 MCN 시장 진입 전략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분석을 목표로 한다. 먼저 MCN 산업을 개관하고, 샌드박스네트워크의 설립과정, 비즈니스 모델 및 브랜드 전략을 면밀히 분석한 후, 미래 시장에서의 전략적 대응에 대한 제언을 내놓는다. 연구 결과, 샌드박스네트워크를 여타 경쟁업체들로부터 차별화할 수 있었던 창업 초기의 핵심 성공 요인은 ‘도티’라는 크리에이터가 창업주로서 가졌던 선한 창립 이념과 비전, 영향력에 있었다. 그러나 샌드박스네트워크는 한 사람의 인적자원에 의존하지 않고, 확장된 비즈니스 모델과 브랜드 전략을 추구하며 독보적인 시스템을 갖추어 나갔다. MCN에 최적화된 확장형 비즈니스 모델로 다양한 사업을 시도하면서 수익 창출을 극대화하였으며, 직원들의 창의성을 높이는 내부 브랜딩 전략과 주 고객인 Z세대와의 관계를 증진시키는 외부 브랜딩 전략을 동시에 시행함으로써 다른 MCN 기업과 구별되는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관련 실무자와 예비 창업자가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increase of the market size of MCN industry—in which companies usually generate their revenues through creator management—has been brought by the rapid growth of online video platform market. Among the companies who compete in the MCN market, Sandbox Network is noteworthy due to its fast growth. Established by a well-known creator who wanted to provide fellow creators with better circumstances for content creation, Sandbox Network has secured the cumulative investment of KRW 40 billion just in the first three years of its founding; its annual sales amounted to KRW 28.2 billion in 2018. These outcomes are surprising given that it entered the MCN market as a late mover.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Sandbox Network’s strategies for the MCN market entry. To this end, along with overviewing the MCN industry, Sandbox Network’s establishment process, business model, brand strategy, and future agendas are carefully analyzed. The results reveal that Sandbox Network’s rapid growth in its very early stage could be attributed to the positive influence of ‘Dotty’, the founder. Moreover, Sandbox Network could maximize its revenue by utilizing the extended business models—optimized for the MCN industry. Finally, Sandbox Network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its competitors by executing not only the internal branding for improving employees’ creativity but also the external branding for enhancing the relationship with its main customers (i.e., Generation Z). Taking these points together,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prospective founders are suggeste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경상대학 > 경영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hinhyoung photo

Lee, Shinhyoung
경상대학 (경영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