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시대 왕비 초상화 제작과 그 중단 원인The Production of Portraits of Queen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Reasons for the Cessation of Their Production

Other Titles
The Production of Portraits of Queen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Reasons for the Cessation of Their Production
Authors
한희숙
Issue Date
Oct-2023
Publisher
한국학중앙연구원
Keywords
조선시대; 왕비; 왕비 초상화; 어진; 영정; 진영; Joseon Dynasty; queen; the portrait of a queen; the portrait of a king
Citation
藏書閣, no.50, pp 176 - 204
Pages
29
Journal Title
藏書閣
Number
50
Start Page
176
End Page
204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59457
DOI
10.25024/jsg.2023..50.176
ISSN
1229-7755
2733-9300
Abstract
조선 초기에는 고려의 뿌리 깊은 숭불사상의 영향으로 왕의 어진뿐만 아니라 왕비의 초상화를 그려 原廟나 願刹 등에 봉안하고 天福을 기도해 왔다. 왕비의 초상화를 그린 목적은 복을 빌고 제사를 지내는 祭儀的 의미와 함께 왕손들로 하여금 조상을 추모하게 하려는 뜻에 있었다. 조선 초기까지 왕비의 초상화가 그려졌는데 왕실에서 공식적으로 그린 왕비의 초상화는 신의왕후, 신덕왕후, 정안왕후, 원경왕후, 소헌왕후, 정희왕후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초상화는 도화원의 전문화가들에 의해 그려져 원묘나 선원전에 보관되었으나, 그 외에 사적으로 승려들에 의해 그려져 원찰에 봉안된 것들도 다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종 대 중반 이후에는 왕비의 초상화는 그려지지 않았다. 왕비의 초상화 제작이 중단된 원인은 억불정책과 이에 따른 불교적 관습의 쇠퇴와 유교 사회의 진전에 따른 유교식 제례로의 변화, 그리고 내외법의 강화 때문이었다. 성리학과 『주자가례』의 보급에 따라 조선 건국 후 풍습을 비롯한 전반적 인 의식이 불교식에서 유교식으로 바뀌면서 제례에서 불교식 영정 대신 유교식 위패 로 대체되었다. 또 내외법이 강화됨에 따라 왕비의 초상화를 남성 화원이 그릴 수 없게 되었다. 위패 중심의 유교식 제례로의 변화와 내외법의 강화로 왕비의 초상화를 그리는 전통은 사라졌다. 더욱이 임진왜란으로 인해 이전에 남아 있던 왕비의 초상화들 은 모두 사라졌다. 이후 17세기 말에 서화를 좋아했던 숙종이 인현왕후의 초상화를 그리고자 시도했지만, 내외법에 어긋난다는 대신들의 적극적인 반대에 부딪혀 결국 좌절되었다. 이후 왕비 초상화를 그리는 문제는 전혀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는 대한제국기 왕실 여성들의 사진을 제외하고는 단 한 명의 왕비도 얼굴을 알 수 없게 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역사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n, Hee Sook photo

Han, Hee Sook
문과대학 (역사문화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