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 진로장벽, 진로결정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relatedness,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Other Titles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relatedness,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Authors
- 최영미; 정미경
- Issue Date
- Jun-2019
- Publish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Keywords
- college student; career decision-relatedness;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대학생; 진로결정관계성; 진로장벽; 진로결정효능감; 구조모형
- Cit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19, no.11, pp.459 - 479
- Journal Titl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 19
- Number
- 11
- Start Page
- 459
- End Page
- 479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3995
- DOI
- 10.22251/jlcci.2019.19.11.459
- ISSN
- 1598-2106
-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결정관계성, 진로장벽, 진로결정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 7곳의 재학 중인 485명(남 216명, 여 26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결정관계성은 진로장벽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를 결정하는데 관계성이 높을수록 즉, 의미 있는 사람이 지지해주고 모델이 되어주고 활동을 함께 하고 조언을 해줄수록 진로장벽을 덜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진로장벽이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와 관련한 경험들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서 방해할 것으로 지각되는 부정적 사건이나 사태 즉 장벽이 클수록 진로결정효능감이 낮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결정에서 관계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면 과정에서 요구되는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완성할 수 있다는 신념을 증가시킨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남녀 대학생 모두 구조모형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관계모형이 성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진로결정효능감을 예측하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진로결정관계성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