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on Vocational Competency of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Program of General High School
- Other Titles
- Latent Profile Analysis on Vocational Competency of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Program of General High School
- Authors
- 임정연; 이영민
- Issue Date
- Aug-2018
- Publisher
- 한국직업교육학회
- Keywords
-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직업기초능력평가; 잠재프로파일분석; Vocational High School; Vocational Competency; Vocational Program; Latent Profile Analysis
- Citation
- 직업교육연구, v.37, no.4, pp.23 - 44
- Journal Title
- 직업교육연구
- Volume
- 37
- Number
- 4
- Start Page
- 23
- End Page
- 44
- URI
-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345
- DOI
- 10.37210/JVER.2018.37.4.23
- ISSN
- 1225-4762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평가를 기준으로 잠재프로파일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대한상공회의소 직업기초능력평가에 참여한 86,81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직업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잠재프로파일은 4개 집단(일반인지-낮은적응형[39%], 인지적응일반형[30%], 직장적응추구형[11%], 하위인지-직장적응 위험형[20%])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유형별 잠재프로파일 결과, 특성화고 고교생은 전체 직업계 고교생 프로파일 분석 패턴과 유사하였고, 마이스터고 고교생은 전반적으로 인지역량 수준이 높았으며, 일반고(종합고) 고교생들의 인지능력은 보통 이하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프로파일 집단은 국어, 영어, 수학, 문제해결 등 인지영역보다 직장적응 등 비인지적 측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분류되었다. 넷째, 직장적응능력이 높은 잠재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졸업 후 취업으로의 진로결정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직업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학업 및진로지도 정책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행정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