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외국인 학습자의 질문 유형 분석 연구: 한국 옛이야기를 이용하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자-
dc.date.available2021-02-22T09:46:01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issn1229-4306-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466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의 옛이야기에 대한 외국인 학습자의 질문 유형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옛이야기가 한국어교육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그리고 옛이야기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질문 총1162개를 수합했고, 6개의 질문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 ‘사실’, ‘설명’, ‘함축’과 같은 수렴적 질문 유형이 40%, ‘견해․평가’, ‘확장․심화’, ‘비교’와 같은 발산적 질문 유형이 60%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질문 가운데 언어영역에 해당하는 것은 대부분 ‘설명’ 유형이었다. 이는 전적으로 텍스트에 의해 촉발된 것이기 때문에 옛이야기가 어떻게 재화된 것이냐에 따라 학습자의 질문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목표어를 수용한 재화 텍스트가 마련된다면 효율적인 한국어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의 질문이 텍스트 내에서 작용하는 화용적 언어의 의미라는 점에서 옛이야기를 활용한 언어교육은 의사소통에 중심을 두어야 함을 말해준다. 문학 영역의 질문에서는 ‘견해․평가’ 유형이 많았다. 한국의 옛이야기가 외국인 학습자의 발산적 사고를 유발하는 데 효율적인 문학 텍스트임을 알 수 있다. 옛이야기가 언어와 문화교육을 위한 도구적 텍스트가 아니라 문학교육 그 자체를 본령에 두고 언어와 문화교육을 통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 영역과 관련된 질문들은 대부분 텍스트 밖에서 한국문화 전반에 대해 묻는 ‘확장․심화’ 유형으로 그 내용이 텍스트에 구속되어 있지 않고, 현대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의식을 묻는 것이었다. 옛이야기가 ‘지금 여기’와 소통의 텍스트로 기능하고 있음을 증명해 준다.-
dc.format.extent26-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동악어문학회-
dc.title외국인 학습자의 질문 유형 분석 연구: 한국 옛이야기를 이용하여-
dc.title.alternativeAnalysis on Korean learners' question types raised by Korean Folk Tale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South Korea-
dc.identifier.doi10.25150/dongak.2018..74.00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동악어문학, v.74, pp 91 - 116-
dc.citation.title동악어문학-
dc.citation.volume74-
dc.citation.startPage91-
dc.citation.endPage116-
dc.identifier.kciidART002318159-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옛이야기-
dc.subject.keywordAuthor학습자 질문-
dc.subject.keywordAuthor수렴적 질문-
dc.subject.keywordAuthor발산적 질문-
dc.subject.keywordAuthor언어-
dc.subject.keywordAuthor문학-
dc.subject.keywordAuthor문화.-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Folk Tales-
dc.subject.keywordAuthorstudents questions-
dc.subject.keywordAuthorconvergent questions-
dc.subject.keywordAuthordivergent questions-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Language education-
dc.identifier.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02799-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 > 기초교양대학 > 기초교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Eun Ja photo

Lee, Eun Ja
기초교양대학 (기초교양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