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우리나라 의장기(儀仗旗)의 디자인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영희-
dc.date.accessioned2021-09-27T03:40:32Z-
dc.date.available2021-09-27T03:40:32Z-
dc.date.issued2014-07-
dc.identifier.issn1976-1562-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52039-
dc.description.abstract어가행렬에 동원되는 공식적인 각종 의장제도는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정립하였고 조선시대에 세부화하고 축소한다. 고려시대 의장기의 종류만 무려 61종이 되었고 의장대가 1380명이고 기는 159개가 되었다. 그러나 조선에 들어서 가장 큰 규모의 대가의장의 종류가 약 100종이고 의장기는 32종으로 고려에 비해 거의 반 정도로 간소화되었다. 의장물이라는 도구에 우주를 끌어들여 하늘과 땅, 인간이 통섭(通涉)하는 상징을 구현하였다. 의장기 무늬의 상징은 음양의 조화와 오행의 순환을 설명한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에 기반한다. 모든 의물은 이 사상을 근거로 각종 신수와 서수 등 삼라만상과 문자 등을 주요 무늬로 장식했고 그에 따른 고유의 의미와 용도 및 놓는 위치가 다르다. 의장기의 시각요소는 정형화되어있지 않고 다양하다. 첫째, 같은 이름의 의장기도 크기와 형태가 각각 다르다. 둘째, 같은 무늬로 표현했지만 그 무늬의 모양은 다르다. 셋째, 오행의 콘셉트에 맞추어 반드시 방위에 해당하는 색을 입혔다. 넷째 대한제국에 와서 시대 변화에 부응하며 새로운 무늬가 등장하는데 주작기나 봉기와 맥을 같이 하는 월기와 일기를 만들게 된다.-
dc.format.extent12-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dc.title우리나라 의장기(儀仗旗)의 디자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sign of Royal flags in Korea-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48, pp 75 - 86-
dc.citation.title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dc.citation.volume48-
dc.citation.startPage75-
dc.citation.endPage86-
dc.identifier.kciidART001899950-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Candi-
dc.subject.keywordAuthorRituals-
dc.subject.keywordAuthorRoyal flags-
dc.subject.keywordAuthorSymbol-
dc.subject.keywordAuthor의례(儀禮)-
dc.subject.keywordAuthor의장기(儀仗旗)-
dc.subject.keywordAuthor상징(象徵)-
dc.identifier.url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45869-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미술대학 > 시각·영상디자인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