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7세기 고구려와 백제 관계의 변화The relation changes of Goguryeo and Baekje in the 7th century

Other Titles
The relation changes of Goguryeo and Baekje in the 7th century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Dec-2016
Publisher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Keywords
고구려; 백제; 왜; 신라-당 연합군; 관계; Goguryeo; Baekje; Wai; Silla-Tang Allied Forces; relationship
Citation
인문학연구, no.32, pp 99 - 132
Pages
34
Journal Title
인문학연구
Number
32
Start Page
99
End Page
132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0028
ISSN
1229-5485
Abstract
고구려는 6세기 말 중국 통일왕조의 등장으로 서북변경 지역에 전쟁의 위험이 고조되었다. 이에 북방 전선에 보다 집중하기 위해 남방 전선에 대한 안정적인 연계 세력을 찾아야만 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오랜 기간 적대관계에 놓여있던 왜와 통호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왜국으로 파견한 승려들을 중심으로 백제 승려들과의 인적 연계망을 구축해 나가면서 서서히 백제와의 적대관계 역시 개선시켜 나갔다. 백제 역시 중국 통일왕조를 통한 고구려 견제책이 오히려 고구려의 공격만을 초래하는 결과를 경험하게 되자, 고구려에 대한 공격을 포기하고 신라에 대한 공격에 집중하여 잃었던 영토를 찾는 쪽으로 정책을 선회하게 된다. 이에 서서히 고구려와의 연계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초반에는 왜를 매개로 하여 고구려와의 관계 변화를 도모하게 된다. 고구려와 백제의 연계형태는 초반에는 서로 암묵적으로 휴전하거나 공동의 적이었던 신라에 대한 순차적인 공격을 통해 서로간의 군사적 위기를 해소시켜 주는 정도였으나 626년 당의 한반도 삼국관계에 대한 적극적인 간섭과 신라에 대한 일방적 편애 속에서 630년 왜에서의 사신단 회동을 통해 정치・군사적인 형태의 연계를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이들의 교섭은 왜라는 제3국을 매개로 한 교섭의 형태를 지니고 있었으며, 642년 당항성 탈취 도모와 655년 신라 북변 공격에서 드러나듯 일시적이고 한정적인 군사연계 수준이었다. 이러한 일시적인 군사연계 수준의 연합은 이후 660년 백제 멸망 이후 오히려 왜를 포함한 보다 지속적이고 긴밀한 수준의 군사 연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당의 일원적 군사 지배체제 하의 신라․당 연합군과의 대결 하에서 다원적 지배구조를 가진 이들 고구려, 백제부흥군, 왜의 군사적 연계는 패배하여 해체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러한 백제․왜를 포함하는 고구려 남방 전선의 군사연계와 거란․철륵 등을 포함하는 고구려 서북방 전선의 군사연계는 고구려가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유지시키고자 했던 주변국과의 외교 교섭 관계를 보여준다. 즉, 수․당과 같이 주변국을 힘으로 복속시켜 일원적 지배체제 속에 편제해 넣음으로써 모든 결정권을 수․당이 쥐고 있던 중국의 대외관계와 달리 고구려는 보다 자율적이고 자국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다원적인 형태의 군사 연계를 유지하고자 했던 것이다. 결국 당이 관철하고자 했던 일원적 지배질서에 의해 고구려가 맺어갔던 주변국과의 교섭관계가 무너짐으로써 상대적으로 고구려의 외교교섭이 취약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이러한 고구려식 외교교섭과 군사연계 방식은 상당히 오랜 기간 그 효과를 발휘했고 그 결과 고구려가 상당히 오랜 기간 당에 대항해 버텨낼 수 있었던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In the late 6th century, Goguryeo(高句麗) had faced the danger of war in the Northwestern frontier area because of the emergence of the Chinese Unification Dynasty. In order to concentrate more on the Northern Front, Goguryeo(高句麗) had to find a stable link to the Southern Front. As a result of this necessity, Goguryeo(高句麗) improved the relationship with Wai(倭) which had being in hostile relations for a long time, and through the monks dispatched to the country in the process, gradually improved the hostile relationship with Baekje(百濟) while establishing a network of people with Baekje monks. When Baekje(百濟) also experienced the consequences of Goguryeo(高句麗)`s attack only through the check of Goguryeo(高句麗) through the Chinese Unification Dynasty, Baekje(百濟) gave up his attack on Goguryeo (高句麗) and focused on attacking Silla(新羅) to get back the lost territory. As the necessity of linking with Goguryeo(高句麗) gradually increased, in the early years, Baekje(百濟) had aimed at changing the relationship with Goguryeo(高句麗) through Wai(倭). Goguryeo(高句麗) and Baekje(百濟) were eliminating the military crisis in the early stages by tacitly truce each other or by sequentially attacking the common enemy, Silla(新羅). But, in 630, these two kingdoms began to seek political and military forms of cooperation through envoy meeting in Wai(倭) against Tang(唐)`s active intervention on three kingdoms in Korean peninsula and one-sided preference for Silla(新羅) from 626. However, their negotiations still had a form of negotiation through the third country Wai(倭), and it was temporary and limited military ties as evidenced by the attempted recapture of Castle Tanghang(黨項城) in 642 and the attack on the northern side of Shilla(新羅) in 655. This unity of temporary military level had developed to a more consistent and close military linkage including Wai(倭) since the fall of Baekje(百濟) in 660. However, the military connection between Goguryeo(高句麗), Baekje(百濟) rebellious army, and Wai(倭) with their pluralistic governance was defeated and disintegrated against Silla(新羅)-Tang(唐) Allied Forces under the unified monarchy system of Tang(唐). However, the military connection of the Goguryeo(高句麗) southern front including the Baekje(百濟) and the Wai(倭國) and the military connection of the Goguryeo(高句麗) northwest fronts including the Kitan(契丹) and the Chulrok(鐵勒), show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at Goguryeo(高句麗) tried to maintain at its best by the end. In other words, unlike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Chinese Unification Dynasty specially Sui(隋) and Tang(唐), which were held by subordinating the neighboring countries with the power and making these countries into a unified domination system, Goguryeo(高句麗) was more autonomous and wanted to maintain a pluralistic form of military ties, with its own interests first. In the end, it was revealed that Goguryeo(高句麗)`s diplomatic bargaining was relatively weak due to the collapse of the bargaining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by the unified domination order that Tang(唐) intended to pursue.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se Goguryeo(高句麗)`s diplomatic bargaining and military linkages had been effective for quite a long time, and as a result, become a factor that Goguryeo(高句麗) had been able to stand up to Tang(唐) for a long period of tim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역사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