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장애아동 상호작용 측정을 위한 음악치료 평가도구의 타당도 재검증 연구A Retesting of the Validity of an Assessment Tool in Music Therapy for Measuring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Other Titles
A Retesting of the Validity of an Assessment Tool in Music Therapy for Measuring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uthors
양은아
Issue Date
Oct-2016
Publisher
한국음악치료학회
Keywords
장애아동; 상호작용; 음악치료; 평가도구; children with disability; social interaction; music therapy; assessment tool
Citation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18, no.2, pp 77 - 98
Pages
22
Journal Title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ume
18
Number
2
Start Page
77
End Page
9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0038
DOI
10.21330/kjmt.2016.18.2.77
ISSN
1598-916X
Abstract
이 연구는 음악치료 현장에서 장애아동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의 개발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Yang과 Choi(2016)가 제안한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재검증하여 임상 현장에서 보다 실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데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는 관련 문헌조사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초기 46개의 문항을 분석하였고, 이후 선정된 32개의 문항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본검사의 대상은 음악치료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와 음악치료 인턴으로 하였다. 이에 국내에 있는 음악치료학회와 음악치료대학원 중 각각 한 기관씩 선정하여 총 1068명에게 메일을 보내 음악치료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음악치료 인턴 과정 중인 자 중 현재 장애아동 음악치료를 실행하는 자에게 설문을 작성하도록 의뢰하였으며, 그 중 총 171부가 수거되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과정은 문항분석과 신뢰도검증, 그리고 구인타당도와 공인타당도 검증의 절차를 거쳤으며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최종 문항으로는 ‘지시반응’, ‘공동관심’, ‘놀이반응’, ‘정서반응’, ‘음악선호반응’, ‘요구표현’의 여섯 개의 요인, 총 28문항이 선정되었다. 이 중 다섯 개의 요인이 Yang과 Choi(2016)가 제안한 초기 상호작용 모형과 일치하였으며, ‘음악선호반응’ 요인이 새로운 단일 요인으로 포함되어 총 여섯 개의 요인으로 재구성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