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 제안 - 독일과 호주의 언어교육 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Korean Educational Policy for its Multicultural Society - with Comparison against Language Educational Policy in Germany and Australia -

Other Titles
Korean Educational Policy for its Multicultural Society - with Comparison against Language Educational Policy in Germany and Australia -
Authors
오하은
Issue Date
Mar-2016
Publisher
한글학회
Keywords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Educational Policy; Immigrant Laborers; Marriage Immigrant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 사회; 한국어교육 정책;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
Citation
한글, no.311, pp 305 - 336
Pages
32
Journal Title
한글
Number
311
Start Page
305
End Page
336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0114
DOI
10.22557/HG.2016.03.311.305
ISSN
1225-0449
Abstract
본고는 다문화 사회를 이루는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정책의 중․장기 방향 정립 및 계획과 추진을 위한 제언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은 과거에 비해 학습자 대상이 교포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사람들로 그 범위가 넓어졌다. 하지만 여전히 다문화 사회 한국어교육 정책은 과거의 체계에 머물러 있다. 학습자 대상이 다양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존의 정책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이다. 대상에 맞춘 적절한 정책의 개선을 위해 본고는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사용 실태, 언어교육 실태 등 그들의 실제적 삶과 연관된 정확한 자료의 축적과 연구가 필요하다. 새로운 다문화 사회 구성원들의 실태와 수요를 조사하여 그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로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현재 이행되고 있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조사한 결과 정부의 각 부처 간 통합이 필요하고, 통합된 정책 하에 효율적인 예산 활용과 체계적인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계획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해외의 언어교육 정책 사례를 참조할 수 있다. 독일의 사례에서는 무조건적인 동화가 아닌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통합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았다. 적절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이민자들로 하여금 그 교육에 참여해야 할 적당한 의무와 정당한 권리를 부여하는 일 또한 필요하다. 호주의 사례에서는 언어교육 정책에서 영어뿐만 아니라 이민자들의 부모가 보유한 모국어를 교육시키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는 미래 사회에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앞선 이민국가의 선행적 정책 및 다양한 사례를 참조할 때 중요한 것은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니라 비판적인 자세로 각 나라의 사례를 다각적으로 검토한 후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에 대한 실태와 수요를 조사하고, 한국어교육 정책의 현황에 대해 충분히 파악한 후 해외의 성공적인 사례를 적절히 수용했을 때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은 올바른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무조건적인 동화가 아닌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통합을 모색하고, 이민자들로 하여금 본인의 문화를 간직한 채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게끔 만드는 보다 발전된 한국어교육 정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corrected medium- and long-term direction, agenda and support for Korean education policy that would benefit the multicultural society, which is comprised of immigrant laborers, marriage immigrant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past, the Korean education policy for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had affected only the overseas Korean population. The target group of the policy has now expanded to include people from much more diverse culture. However, the Korea education policy remains unchanged from the old system. In other words, the Korean education policy needs to be modified as the target group affected by the law has grown. The paper offers thre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policy that would accommodate diverse group of individuals. First of all, there is a need to compile and research the more accurate data relevant to actual living situations of immigrants, such as the language usage and language educational conditions. Investigation on the conditions and demand of new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s necessary for creating individualized policy. Secondl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education policy for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needs to be properly realized. Research on the current Korean education policy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for integration among different government sectors to create more efficient budget utilization and to plan systematic language educational program under a well-integrated policy. Thirdly, the successful cases of language educational policy from foreign countries should be considered. The case of Germany shows that integration based on the “salad bowl theory” should be preferred over absolute assimilation based on the “melting pot theory”. The same case demonstrates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authorize appropriate rights and duties for immigrants to participate in proper language educational programs. In the case of Australia,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al policy promotes education for both national language and native language of individual immigrants. A significant advantage of Australia’s language education policy is that it encourages educating prospective bilingual talents. Although the cases of the two immigration nations are proven to be successful, rather than accepting them unquestionably, they should be meticulously analyzed in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The Korean educational policy for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can be guided in a right direction when proper procedures are achieved. Actual living conditions and demand of members of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need to be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education policy requires accurate understanding. The successful cases from foreign countries should be carefully studied. The improved Korean education policy should encourage willing, natural integration instead of absolute assimilation so that immigrants can embrace a new culture while preserving their native cultur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독일언어·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