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7-8세기 동아시아 『약사경』해석의 특성 - 『사분의극략사기』에 의탁하며 -The Doctrinal Interpretations on the Sutra of Bhaiṣajyaguru of 7-8century in East Asia - the commentaries of Huiguan, Daehyeon and Zenju -

Other Titles
The Doctrinal Interpretations on the Sutra of Bhaiṣajyaguru of 7-8century in East Asia - the commentaries of Huiguan, Daehyeon and Zenju -
Authors
정병삼
Issue Date
Aug-2013
Publisher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Keywords
Bhaiṣajyaguru Sūtra; Huiguan; Daehyeon; Zenju; Yaoshijingshu; Bonweonyaksa gyeonggojeok; Yakushikyōsho.; 藥師經; 慧觀; 大賢; 善珠; 藥師經疏; 本願藥師經古迹; 本願藥師經鈔.
Citation
불교학보, no.65, pp 101 - 128
Pages
28
Journal Title
불교학보
Number
65
Start Page
101
End Page
128
URI
https://scholarworks.sookmyung.ac.kr/handle/2020.sw.sookmyung/11385
ISSN
1226-1386
Abstract
藥師信仰은 질병 등 온갖 현세에서의 고난으로부터 구제해 주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現世祈福的 성격을 바탕으로 전개된 신앙이다. 약사신앙은 동시에 淨土往生的 성격도 갖는다. 정토적 성격은 彌陀신앙과, 현세적 성격은 觀音신앙과 비슷하나 약사정토를 강조하는 것보다는 극락정토에의 인도를 설하는 것이 이채롭다. 약사신앙은 주로 유식사상가들이 지은 『약사경』 주석서에 기반하여 수 당과 신라 및 일본 등 동아시아 삼국에서 널리 전개되었다. 그런데 7-8세기에 활동한 당 慧觀과 신라 大賢 그리고 일본 善珠의 『약사경』 주석서가 남아 있어 이들에 대한 상호 비교 검토가 가능하다. 혜관은 『藥師經疏』를 지어 체계적인 分科를 세우고 경문에 대한 상세한 주석을 통해 약사신앙의 여러 의의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일부가 남아 있는 혜관의 주석에서는 地論 계통의 사상적 영향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약사경』 주석이 시작되던 시기의 해석 경향을 보여준다. 대현은 『本願藥師經古迹』을 저술하였는데 상세하고 체계적인 科文을 구성했지만 약사신앙의 중심인 약사여래의 12大願과 9橫死에서의 구제에 대해서는 해석이 간략한 것이 특징이다. 대신 六齋日에 대한 해석이나 삼악도에 떨어지지 않기 위해 수지해야 할 계율에 대해서는 상세하고 명확한 해석을 베풀었다. 선주의 『本願藥師經鈔』는 경의 大意를 밝히는 등 가장 내용이 충실한 편이나 과문의 구성은 체계성이 미흡한 편이다. 구성이 혜관의 소와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매우 유사한 면모를 보이고 있으며 해석에서 영향 관계도 드러난다. 당의 규기나 정매와 혜관, 신라의 憬興과 道倫 및 대현, 일본의 선주 등 유식사상가들의 『약사경』 주석으로 동아시아 사회에 약사신앙은 현세이익적 구제를 중심으로 정토왕생적 성격까지 갖추며 널리 수용되게 되었다. 혜관과 대현과 선주의 주석서 비교를 통해 이들이 기본적으로 유사한 틀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세부적으로 서로 다른 관점에서 『약사경』을 해석하여 자국에 약사신앙이 정착되는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belief of Bhaiṣajyaguru was based on the Sutra of Bhaiṣajyaguru, according to saving all those who was sick and suffered from poverty and it would also prolong the life span. For this, believers should observe eight commandments and light lamps and hang ribbons. It also promise all devotees who wish to reborn in the East paradise, and will lead to the Pure Land. The belief of Bhaiṣajyaguru was spread in East Asia by the commentaries of the Sutra of Bhaiṣajyaguru. In 7th and 8th century, Huiguan(慧觀) of Tang, Daehyeon(大賢) of Silla and Zenju(善珠) of Japan wrote commentaries of that sutra. Yaoshijingshu(藥師經疏), partially preserved in the Dunhuang collection, Huiguan shows strict section and detailed explanation. The commentary of Huiguan was beginning style of that commentary. Daehyeon's Bonweonyaksa gyeonggojeok(本願藥師經古迹) shows systematic section, but he explained briefly about twelve Great Vows and nine sudden death. He also gave a full explanation about six forbidden days and commandments. Zenju's Yakushikyōsho(藥師經疏) shows most complete explanation and he wrote about the outline of the sutra. His explanation is similar to that of Huiguan's. Kuiji(窺基), Jingmai(靖邁) and Huiguan in Tang, Gyeongheung(憬興), Doryun(道倫) and Daehyeon in Silla, Zenju in Japan, the Yogacara School masters wrote the commentaries of the Sutra of Bhaiṣajyaguru. With these, the belief of Bhaiṣajyaguru was accepted in East Asia society. Comparing these commentaries of Huiguan, Daehyeon and Zenju, we can see that they had similar type of section and different explanation. They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belief of Bhaiṣajyaguru in their country each other.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문과대학 > 역사문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